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4.21 18:20 수정 : 2019.04.21 20:33

김정은, 노동당 제7기 제4차 전원회의 주재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0일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당 제7기 제4차 전원회의를 주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1일 보도했다.

김정은, 노동당 제7기 제4차 전원회의 주재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0일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당 제7기 제4차 전원회의를 주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이번주로 예고된 북-러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하여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정상 외교전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미-일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으며, 6월 중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을 방문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또 6월 말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과 한-미 정상회담이 연달아 열릴 가능성도 거론된다. 남북정상회담도 추진 중에 있다. 이 연쇄 외교전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난관이 조성된 북-미 비핵화 협상에 돌파구를 열 수도 있고 교착 상태가 더 길어질 수도 있다. 우리 정부의 창조적 대응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주 중 열릴 북-러 정상회담은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첫번째 정상외교 상대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선택됐다는 점에서 먼저 주목할 만하다. 북-미 비핵화 협상이 장기전이 될 것에 대비해 우군을 확보하고 협상의 지렛대를 키우려는 북한의 전략과, 한반도 문제에서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러시아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김 위원장은 북-러 정상회담 개최 발표 전에 시진핑 주석에게 친서를 보내 ‘한반도 정세 흐름의 관건적 시기’에 ‘동지적 관계’의 전진이 필요함도 강조했다. 북-러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을 자극하고 러시아와 공조해 대미 협상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 드러난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이런 중·러 밀착이 비핵화 협상의 원심력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외교 역량을 모아 대응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하노이 회담 이후 계속돼온 북-미 신경전은 갈수록 커지는 느낌이다. 다행인 것은 북-미 정상 간 신뢰관계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런 신뢰관계도 교착이 길어지면 훼손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출구 찾기는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눈여겨볼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낼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는 보도를 청와대가 확인해준 점이다. 보도를 보면, 상당히 의미 있는 메시지일 가능성이 있다. 이 메시지를 고리로 삼아 북-미가 대화 재개로 나갈 길을 만들 여지도 있어 보인다. 그러나 북-미 대화가 다시 시작되려면 먼저 남북정상회담을 열어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북한의 응답이 빨리 올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