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2.31 18:22 수정 : 2012.12.31 18:22

지난해 11월24일 ‘지구촌협동조합’의 이주노동자 조합원들과 포스코 직원들이 ‘김장나눔 행사’에 참가해 김장을 담그고 있다. 지구촌협동조합·한지랑칠보랑협동조합 제공

법 발효한 지 4주만에 100여건
조합원 5명 이상이면 설립 가능
사회적 약자 권익찾기 터전으로

지난해 12월1일부터 5명 이상이면 협동조합 기업을 차릴 수 있도록 한 협동조합기본법이 발효되면서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협동조합이 줄지어 등장하고 있다. 조합원들이 공동출자하는 협동조합은 주식회사와 달리 조합 운영 의사결정에 한 사람이 한 표씩만 행사한다.

<한겨레>가 전국 광역시·도를 취재해보니, 12월28일 현재 광역자치단체에 접수된 일반 협동조합 설립 신고는 103건에 이른다. 정부 부처에 접수된 사회적 협동조합 인가 신청은 9건이었다. 신고필증이나 인가를 받은 뒤 출자금을 납입해 등기소에 설립 등기를 마치면 협동조합으로서 법인격이 부여된다.

사회적 약자들이 자신의 권익 보호를 위해 차리겠다는 협동조합이 많았다. ‘대리운전협동조합’은 업체 쪽이 지나친 콜수수료, 부당한 벌금을 물리고 보험료를 떠넘기는 등 문제를 스스로 풀어내겠다며 대리운전기사들이 만들었다. ‘지구촌협동조합’은 서울 구로지역 이주노동자들이 식당과 인력중개소를 운영하려고 만들었다. 단돈 1000원으로 아침 식사를 해결하고, 직업교육과 인력파견 사업을 펼친다. 광주 광산구 청소대행업체에서 일하던 이들이 만든 ‘클린광산’, 광주 서구 청소자활기업에서 근무한 이들의 ‘청소박사’도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서려고 협동조합을 추진했다. 강원도에선 강릉·정선지역 상인들이 시장협동조합을 만들겠다며 협의중이다.

전통 수공예품을 제작중인 ‘한지랑칠보랑협동조합’의 조합원들. 지구촌협동조합·한지랑칠보랑협동조합 제공

다문화 가정의 이주자들과 자녀들을 위한 ‘다문화협동조합’이 대전, 충남 금산·논산, 전북 남원, 전남 목포 등 각지에서 출범한다. 금산군 다문화협동조합은 2년 전 아빠들이 만든 다문화 자조모임이 모태다. 이들은 봉사대도 만들고, 텃밭을 지어 수익을 내는 사업도 구상중이다.

광주광역시에선 60살 이상 노인 20명이 모여 ‘더불어락협동조합’을 만들었다. 광주 광산구의 노인복지관을 빌려 공정무역 커피를 파는 북카페를 운영하고, 인근 시장에 팥죽가게·두부가게도 차렸다.

지역주민들끼리 모여 협동조합을 설립한 사례도 있다. ‘한지랑칠보랑협동조합’은 10년 전 서울 중랑구 면목2동 주부 8명이 주민자치센터 문화교양강좌에서 한지공예 수업을 받은 것이 인연이 됐다. 한지공예 작품활동을 하며 강사 자격도 따고 전시회도 열다가, 칠보공예반 회원들까지 합세해 협동조합을 만들었다. 서울 노원구 상계1동 주민들도 ‘마을기업북카페협동조합’을 만들어 북카페를 주민들의 사랑방으로 쓰면서 커피나 전통차를 판다. 부산 동래구 주민 7명이 만든 ‘3355소비자협동조합’은 우수 농수산물을 공동구매한 뒤 조그만 매장을 두고 값싸게 팔 계획이다.

독거노인·소년소녀가장·장애인 등을 좀더 확고하게 돕겠다는 생각에서 협동조합에 주목하는 이들도 많다. 서울 성북구에선 재활용 의류를 수집해 되팔아 장애인과 취약계층을 고용하는 ‘성북의류자원순환협동조합’이 등장했다. 경기 성남에선 돌봄 종사자 200여명이 만든 ‘만남돌봄센터’가 협동조합으로 성격을 바꿨는데, 이 센터는 지난 10년 동안 400여명에게 재가 장기요양, 가사간병 등의 돌봄 서비스를 해왔다. 다이어트를 원하는 소비자와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정에 사랑의 도시락을 배달하는 ‘행복나눔협동조합’도 전국 곳곳에서 설립 신고를 마쳤다.

박기용 기자, 전국종합 xeno@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