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새해 여론조사]
60살 미만 모든 연령층서 앞서
민주당 39.9%, 한국당 18.9%
정의당 10.8%, 바른미래당 3.8%
다른 군소야당은 1% 안팎 머물러
바뀐 선거법에도 비례 확보 난망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정당 지지도나 선호도에서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두배쯤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30~40대에서, 한국당은 60살 이상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다.
<한겨레>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살 이상 유권자 1000명에게 지난 12월27일부터 이틀간 한 전화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지지하거나 호감을 갖고 있는 정당”을 묻자 10명 중 4명이 민주당이라고 답했다. 민주당(39.9%)에 이어 한국당 18.9%, 정의당 10.8% 순이었다. 다른 군소 야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미미했다. 바른미래당이 3.8%의 지지를 받았고, 새로운보수당(1%)과 민중당(0.9%), 우리공화당(0.4%), 민주평화당(0.2%)을 지지한다는 답변은 1% 안팎에 머물렀다. 바뀐 선거법으로 선거를 치르더라도 각 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당득표율이 최소 3%를 넘어야 한다. 선거법 개정으로 다양한 군소 정당이 국회에 들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현재 지지율로 따지면 아직 ‘커트라인’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인 셈이다. 22.9%에 이르는 무당층 표심을 누가 잡느냐에 승패가 나뉠 전망이다.
정당 지지는 지역과 세대별로 뚜렷이 구분됐다. 광주와 전라 등 호남에서 “민주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69.7%로 압도적이었고, 이어 정의당이 13.3%로 뒤를 이었다. 한국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3.2%에 그쳤다. 대구·경북에서는 한국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30%로 민주당(15.1%)보다 두배쯤 높았지만, 지지율 자체는 높지 않았다. 대구·경북에서 정의당 지지도는 10.5%였다. 부산·울산·경남에서도 민주당 지지도가 40.2%로 한국당(24.8%)을 크게 앞섰다. 대전·충청에서는 민주당 46.9%, 한국당 16.5%, 정의당 10.6%, 바른미래당 3.7% 순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민주당은 30대(56.1%)와 40대(45.9%), 20대(38.8%), 50대(35.1%), 60살 이상(30.3%) 순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한국당은 60살 이상(36.7%)에서 비교적 많은 지지를 받았고, 50대 20.1%, 40대 12.2%, 30대 8.7%, 20대 6.7% 순으로 지지도가 정확히 연령순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정의당은 20대(7.6%)와 60살 이상(6.7%)에서 한 자릿수를 기록했지만, 30대(12.4%)와 40대(14.2%), 50대(14.6)에서는 두 자릿수의 고른 지지율이 나타났다. 이번에 바뀐 선거법으로 투표 연령이 18살로 내려가 53만명에 이르는 이들의 표심이 어디로 갈지 관심이 쏠리지만, 이번 여론조사에 포함되지는 않았다.
“당장 내일 국회의원 선거라면 정당 투표를 어느 정당 혹은 단체에 할 것 같으냐”는 질문의 결과 역시 지지 정당과 큰 차이가 없었다. 민주당 40%, 한국당 21.9%, 정의당 11.5%, 바른미래당 4% 등의 순서였다.
표심 가를 이슈2명 중 1명 “총선 투표 기준은 경제·일자리”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은 18.4%
일자리 문제와 오차범위 내 3위 국민들은 내년 4월 총선에서 선택의 순간에 경제와 일자리 등 민생을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삼겠다고 답했다. 지속적인 개혁과 적폐 청산이라는 원칙에 동의하지만, 그에 앞서 역시 먹고사는 문제 해결이 기본이라고 보는 셈이다. <한겨레>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살 이상 유권자 1000명에게 지난 12월27일부터 이틀 동안 한 전화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총선에서 정당이나 후보를 선택할 때 어떤 이슈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겠느냐”라는 물음에 응답자 두명 가운데 한명은 경제 상황과 일자리라는 ‘민생’ 문제를 꼽았다. 경제 상황을 꼽은 응답자는 30.3%, 일자리를 꼽은 응답자는 21.0%였다. 광주·전라와 대구·경북은 다른 지역과 달리 일자리 문제를 꼽은 응답이 각각 24.4%와 33.6%로 평균치를 넘겨, 해당 지역의 일자리 문제가 엄중하다는 점을 보여줬다. 부동산 문제를 꼽은 응답자 비율이 5.4%라는 점도 눈에 띈다. 이번 조사를 한 글로벌리서치 김태영 이사는 “경제·일자리 문제는 시민들에게 늘 중요한 문제”라며 “특히 현 정부 전반기 동안 경제에 관한 실망감이 계속 쌓여 있는 상태기 때문에 여권이 경제·민생 문제에서 나아지고 있다는 신뢰를 주지 못하면 표심이 돌아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을 판단 기준으로 꼽은 응답자가 18.4%로 세번째 순위를 차지한 점도 눈에 띈다. 일자리 문제와 오차 범위 안에서 우열을 다툴 만큼 국민들의 권력기관 개혁 요구가 거센 셈이다.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 문제는 광주·전라에서 33.6%의 응답률을 보여 경제 상황(17.1%)과 일자리 문제(24.4%)를 제치고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꼽혔다. 서울에서도 권력기관 개혁은 17.7%를 기록해 일자리 문제(13.2%)를 제치고 두번째 기준으로 나타났고, 대전·충청에서도 20.6%로 조사돼 경제 상황(23.9%), 일자리 문제(21.6%)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념 성향에 따라 판단 기준의 우선순위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을 진보라고 한 응답자 가운데 31.0%는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을 후보 선택의 첫번째 조건으로 꼽았지만, 보수라고 한 응답자의 43.5%는 경제 상황을 최우선기준으로 선택했다. 권력기관 개혁을 기준으로 꼽은 보수 응답자 비율은 7.8%에 불과했다. 총선 결과 예측
“범진보가 과반 의석 될 것” 47%…“범보수 차지” 17% 4월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범진보 진영이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겨레>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살 이상 유권자 1000명에게 지난 12월27일부터 이틀간 한 전화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응답자의 47.4%는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 범진보가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도 정당의 선전으로 어느 진영도 과반을 차지하지 못할 것”라는 응답이 21.2%, “자유한국당과 우리공화당 등 범보수가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것”는 응답이 17.2%로 뒤를 이었다. 이런 예측에는 한국당의 정당 지지도가 민주당의 절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과, 선거제도 개편으로 진보 정당과 중도 성향 정당의 의석 확보가 과거에 견줘 쉬워졌다는 유권자들의 판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범진보가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것이라는 응답은 40대(62.6%), 화이트칼라(55.5%)와 블루칼라 종사자(54.0%), 자영업자(52.9%)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77.2%), 대전·충청(53.9%)에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범진보의 과반 의석을 예측했다. 반면 범보수가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은 60살 이상(25.5%)과 대구·경북(27.4%)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흥미로운 대목은 ‘범보수 과반 의석’을 예측한 비율은 한국당 지지층과 보수층에서도 각각 52.5%, 38.9%에 그쳤다는 점이다. 이는 민주당 지지층과 진보층에서 각각 76.7%와 70.1%가 ‘범진보 과반 의석’을 예측한 것과 뚜렷하게 대비된다. 서영지 성연철 정유경 기자 yj@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