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이슈
국회의원 지역구 세습 논란
제헌의회부터 20대 국회까지
‘가족 의원’ 70번 탄생
부자 관계가 37번으로 최다
문희상 의장 아들 출마에
“지역구 대물림” 비판
현역 아버지 지역구에
직행하는 사례는 드물어
“유권자 선택” 강조하지만
‘후광효과’로 불공정 경쟁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 들어서면 로비 양쪽 벽면에 ‘국회진기록관’이 있다. 왼쪽 전시물은 최연소·최고령 의원, 가장 긴 발언을 한 의원, 최초의 귀화인 국회의원 등 특이한 이력을 소개한 것이다. 오른쪽 벽면을 가득 채운 전시물은 ‘국회의원 가족 당선 기록’이다. 제헌의회부터 20대 국회까지 ‘부자 국회의원’(부녀·모자·모녀 등도 포함)이라는 제목을 달았고, 모두 47가족이나 된다. 일부는 가족사진도 함께 전시했다. 이와 별도로 ‘부부 국회의원’이 9가족, ‘형제 국회의원’이 14가족 있다. ‘최초’ 사례나 ‘연속 12회 당선’ ‘3형제’ 등 특이한 경우는 다른 색깔로 눈에 띄게 꾸몄다. 가족의 정치적 자산을 공유한 국회의원이 적지 않음을 한눈에 보여주는 전시물인 셈이다. 그러나 국회의원으로서 의정 활동이 아니라 ‘가문의 영광’인 것처럼 보여주는 방식에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문희상 국회의장의 아들 문석균(49)씨가 아버지가 6선을 지낸 지역구에 출마하려는 것을 두고 세습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유력 정치인 아버지의 ‘정치 자산’을 활용해 권력을 쉽게 대물림하려는 것이라는 비판에 문씨는 “선출직을 세습이라고 하는 건 공당과 지역주민에 대한 모욕”이라고 반박한다. 입시나 취업 등에 부모의 경제·문화 자본이 공공연하게 영향을 끼치듯 정치에서도 ‘아빠 찬스’는 통하는 것일까? 전·현직 의원들의 사례로 살펴보았다.
부자 국회의원 37번, 부녀 국회의원 5번
국회진기록관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 정보 등을 살펴보면, 제헌국회 이후 ‘부자 국회의원’은 37번, ‘부녀 국회의원’은 5번의 사례가 있다. ‘모자 국회의원’은 딱 한번(13대 도영심-19대 이재영)이다. 시아버지와 며느리(4선 김태호-3선 이혜훈)도 있고, 할아버지나 외할아버지가 국회의원을 지낸 경우도 3명(20대 김현미·이상돈, 19대 유기홍) 있다. 20대 현역 의원 중에는 국회의원 출신 아버지를 둔 경우가 지역구 10명, 비례대표 3명이다.
최근 문 의장 부자의 사례가 특히 논란이 되는 이유는 현역 국회의원인 아버지의 지역구를 곧바로 물려받은 사례가 드물기 때문이다.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4선)이 아버지 지역구에서 ‘직행 출마’한 경우다. 아버지 정석모 전 의원은 박정희 정권 때 강원도·충남도 지사를 지냈고, 10대 총선 충남 공주에서 당선돼 15대까지 내리 6선(비례대표 2번 포함)을 했다. 정 의원은 아버지의 뒤를 곧바로 이어 16대 총선 충남 공주·연기에 출마해 당선됐다. 정 의원이 국회 사무총장 시절 만들어진 국회진기록관에 ‘연속 9회 당선 가족’으로 소개돼 있다.
이런 ‘세습 공천’이 낙선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19대 총선 때 이용희 전 의원(5선)은 아들 이재한씨에게 지역구를 물려주려고 당적까지 옮겼다. 그의 지역구인 충북 남부 3군(보은·옥천·영동)은 ‘이용희 공화국’으로 불릴 정도로 그의 영향력이 막강한 곳이었다. 한나라당이 휩쓴 2006년 지방선거 때도 이곳 3군에서 모두 그의 소속 정당(열린우리당) 후보가 당선됐다. 그는 2008년 18대 총선 공천에서 탈락하자 자유선진당으로 출마해 당선됐고, 2010년 지방선거에서도 선진당 후보들을 대거 당선시켰다. 그러나 아들이 19대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에 입당하자 자신의 지역구 선진당 소속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을 이끌고 민주당으로 돌아가 세습 정치라는 비판을 받았다. 아들은 민주당 공천을 받았으나 19대·20대 총선에서 연거푸 낙선했다.
정호준 전 의원(19대)도 아버지 정대철 전 의원(5선)으로부터 서울 중구 지역구를 물려받았다. 첫 출마였던 17대 총선에서 낙선했고, 18대 때는 전략공천에 밀려 공천도 받지 못했다. 서울 중구는 2~9대 8선 국회의원을 지낸 그의 할아버지 정일형 전 의원의 지역구이기도 하다. 유신 반대 활동을 하다 구속돼 의원직을 잃자 아들 정대철 전 의원이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 지역구가 3대로 이어지면서 세습 논란이 불거진 사례다.
아버지 지역구에서 당선된 경우는 20대 현역 의원 중에도 여럿 있다. 김세연 한국당 의원(3선)은 아버지 김진재 전 의원이 5선을 지낸 부산 금정구에서 금배지를 달았다. 김 전 의원은 16대 국회를 마친 뒤 2005년 별세했고 김 의원은 2008년 18대 총선에서 당선됐다. 정치 신인이었는데도 그는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해 64.76%라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3선)과 아버지 노승환 전 의원은 ‘마포 부자’다. 노승환 전 의원은 1971년부터 2002년까지 30여년 동안 서울 마포에서 국회의원 5선에 국회부의장, 민선 1·2기 마포구청장을 지냈다. 노웅래 의원은 2004년 17대 총선 때 마포갑에서 처음 당선됐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의원(4선)은 15대 총선 때 아버지 정운갑 전 의원(4·7·8·9·10대)의 고향이자 지역구였던 충북 진천에서 국회의원을 시작했다. 장제원 의원(재선·부산 사상구)은 아버지 장성만(11·12대) 전 국회부의장의 지역구에서 18대 때 입문했고, 홍문종 우리공화당 의원(4선)도 아버지 홍우준(11·12대) 전 의원의 지역구인 경기 의정부에서 15대 총선부터 선거를 치러왔다.
유승민 새로운보수당 의원(4선)의 지역구는 대구 중구에서 재선을 한 아버지 유수호 전 의원과 가까운 대구 동구을이다. 더불어민주당 초선인 김영호 의원은 6선을 지낸 아버지 김상현 전 의원의 지역구였던 서울 서대문갑에서 17대 총선에 출마했다 낙선했다. 이후 지역구를 서대문을로 옮겨 4수 만에 당선됐다.
이 밖에 ‘부자 의원’으로는 한국당 이종구(3선·서울 강남갑) 의원과 이중재 전 의원(6선), 김무성(6선·부산 중구 영도구) 의원과 김용주(초선) 전 의원이 있다. 비례대표 가운데는 장정숙 대안신당 의원-장영순 전 의원(4선),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김현배 전 의원(초선)이 ‘부녀 의원’이고, 김종석 한국당 의원-김세배 전 의원(3선) 부자도 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국회의장실에서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
문석균씨 페이스북 갈무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