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05 19:12 수정 : 2005.09.05 19:12

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박근혜 대표가 회의 시작을 기다리는 동안 강재섭 원내대표(오른쪽)와 임태희 원내 수석부대표가 이야기를 하고 있다. 황석주 기자 stonepole@hani.co.kr

한나라 “‘연정’ 돌려 ‘민생’ 화제삼자”

청와대 전략은

접점 찾으려 ‘어록’뒤져
“지역구도 타파” 낮은 수준 공통분모 목표

7일로 정해진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와의 회담을 앞두고, 청와대가 매우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번 회담으로 두 달 이상 끌어온 ‘연정론’이 사실상 결판을 보게 되는 만큼, 묘수나 승부수를 던지기에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먹힐 가능성도 적은데, 성급하게 꺼내들었다가 매몰찬 반응만 나오면 더이상 연정론을 끌고 갈 힘을 잃게 된다. 두 사람만 만나는 게 아니어서, 총리직 제안이나 각료 추천권 배분과 같은 깊숙한 얘기를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그래서 유일한 방법은 지역구도 타파라는 명분을 내걸고, 아주 낮은 수준에서라도 공통분모를 찾아내는 것 아니겠느냐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노 대통령도 5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 “그동안 여야가 만나면 상생 정치를 주장했고 여러차례 다짐했으나, 실제로 이루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며 “연정은 포용과 상생 정치의 최고 수준에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높은 단계인 연정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낮은 단계에서의 상생 정치에 뜻을 모아보자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에 따라 박 대표의 ‘어록’을 샅샅이 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표가 그동안 상생의 정치,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여러차례 강조해 온 점을 이번 회담에서 들이대며 타협점을 끌어내겠다는 생각이다.

청와대는 그 첫단추로 8·31 부동산 대책의 국회 통과에 주목하고 있다. 한나라당과의 초당적인 협력을 실험하는 데 가장 적격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총론에서는 찬성하면서도 각론에서는 정부안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 첫 실마리를 풀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편, 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한나라당과의 ‘연정론’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열린우리당 안팎의 옛 지지세력을 향해 ‘용서의 손길을 내밀어줄 것’을 호소했다.

 그는 “언제까지 우리가 과거를 정리하지 않고, 언제까지 여기에 발목이 잡혀 있을 수는 없다”며 “새로운 미래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과거사를 정리하고 용서하고 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한나라 전략은

브레이크 잡을 기회
“경제회담 이끌라”의총서 적극 대응 주문

“직접 만나서 매듭짓고 오겠다. 조금도 걱정하시지 마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5일 노무현 대통령과의 회담을 앞두고 소집한 의원총회를 이렇게 마무리했다. 노 대통령의 ‘연정론’에 단호한 거부 뜻을 밝히라는 의원들의 요구가 쏟아진 뒤 내놓은 대답이다.

박 대표는 “야당 대표로 가지만 국민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달하고, 국정 전반에 관해 할 이야기를 하고 오겠다”며 “만약 대통령이 그 자리에서 연정을 제안하면 직접 부당하다고 말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옥 대변인은 의총 뒤 브리핑을 통해 회담의 핵심 의제로 민생과 경제, 북한의 핵과 인권 문제 등을 꼽았다. 연정론은 아예 비껴가고 싶다는 뜻이다.

의총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발언에 나선 12명의 의원은 대체로 “회담 수락은 아주 잘 한 일”이라고 평가한 뒤, “연정론에 쐐기를 박아달라”고 주문했다. 지난 2일 회담 수락 직후 당내 일각에서 일었던 ‘회담 무용론’이나, ‘연정 적극 대응론’은 쑥 들어갔다.

 김문수 의원은 “민생경제의 파탄상황에서 대통령이 앞장서서 매일 (연정 등) 목숨을 건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며 “재빠르게 브레이크를 잡을 수 없는 야당이라면 더이상 야당이 아니다”라고 ‘연정론 차단’을 요구했다. 진수희 의원은 “연정은 국민과 야당을 혼란시키는 것일 뿐이라고 대통령에게 분명하게 이야기해달라”고 부탁했고, 심재철 의원은 “경제 회담으로 이끌어달라”고 주문했다.

소장파 모임인 새정치수요모임은 이날 의총에 앞서 회의를 열었으나, “회담은 대표의 결단에 맡길 일”이라며 별도의 의견 표명을 하지 않았다.

한나라당은 노 대통령과의 회담이 박 대표에게 ‘덫’이 될 가능성을 고려해, 회담의 형식 등에도 신경을 쓴 것으로 알려졌다. 단독회담이 될 경우 양쪽에서 다른 말이 나올 수도 있다고 보고, 양쪽에서 3명씩 배석시키자고 요청했다. 또 식사를 하다보면 아무래도 진지한 대화를 나눌 수가 없다며 회담 시간도 오후 2시로 정했다고 한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