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26 19:33 수정 : 2005.08.26 19:34

박정희 통역없어 일어로 직대

일 총리 면담뒤 “통역” 거짓말

한·일협정 회담은 1961년 7월 6차회담부터 ‘정치 협상’으로 넘어간다. 5·16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정권의 경제적 이해와 한·일 국교 수립을 앞당기려는 일본의 정치적 타산이 결합한 결과였다. 이때부터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과 김종필 중앙정보부장, 이동원 외무장관의 방일이 잇따르면서 결국 협상은 매듭을 짓게 된다.

일본어 통역은 필요없다=박정희 의장은 1961년 11월12일 이케다 하야토 일본 총리와 총리 관저에서 만나, 20분의 공식회담과 1시간 20분의 비공식회담을 통해 조속한 국교 정상화에 합의한다. 고사카 젠타로 당시 일본 외상의 제의로 이뤄진 비공식회담에서 박 의장과 이케다 총리는 통역 없이 대면한다. 박 의장의 일본어 실력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그러나 박 의장은 회담이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양쪽이 통역을 대동하고 의견을 교환했다”고 거짓말을 한다.

6억달러 이하로 내려갈 순 없다=1962년 10월20일 김종필 부장은 박 의장의 특사 자격으로 일본을 전격 방문한다. 미국을 가기 전에 들른 것이다. 이날 김 부장은 오히라 마사요시 외상과 단독으로 만나, 청구권 총액을 놓고 일전을 치른다. 김 부장은 “서로 인격을 존중하고 신뢰를 갖고 이야기하자”며 오히라 외상에게 얼마를 내놓을 것이냐고 묻는다. 이에 오히라 외상이 “대체로 3억달러를 고려하고 있다”고 대답하자, 김 부장은 “우리 국민들은 자유당, 민주당, 혁명정부에 이르는 동안 교섭액수가 줄어들고 있는 데 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며 “6억선까지 하강시킨 것도 혁명정부로서는 어려운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맞받아친다.

총리관저냐 외무성이냐=1965년 6월20일 이동원 외무장관이 한·일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일본을 찾는다. 이 때 한-일 간에는 서명 장소를 놓고 마지막 실랑이가 벌어진다. 일본은 협정타결의 외교적 성과를 과시하려는듯 사또 에이사쿠 총리가 참석할 것이라며, 총리 관저를 제안한다. 그러나 외무부는 주일대표부에 훈령을 보내 “관례적인 절차 문제도 있고, 국내적인 고려도 있는 만큼 외무성에서 서명하라”고 지시했다. 결국 서명 장소는 일본의 뜻대로 총리 관저로 낙착됐다. 6s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