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11 11:06 수정 : 2005.01.11 11:06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11일 단행한 '2기 당직개편'은 당 대표 취임 2년차를 맞아 친정체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당의 면모를 쇄신하기 위한 다목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우선 새해부터 당이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박 대표의 의중은 당직 개편 시기를 연초로 잡고 정책위의장과 사무총장, 대표 비서실장과 정조위원장 등 주요당직을 대거 교체한데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박 대표는 이번 당직개편에서 비례대표 초선인 박세일(朴世逸) 의원을 정책위의장에 내정하고 3선의 김무성(金武星) 의원을 사무총장에 기용한 것을 비롯, 6명의 정조위원장 가운데 5명을 교체하는 대폭적인 당직개편을 단행했다.


특히 초선인 박세일 의원을 임명직 최고위직인 정책위의장에 발탁한 것은 선수를 파괴한 적지않은 파격으로, 당의 면모를 새롭게 변화시키겠다는 박 대표의 의도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의원총회를 거쳐 최종 임명될 박 정책위의장 내정자는 서울 법대와 국제대학원교수 출신으로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 정책기획.사회복지수석을 지낸데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정책통이라는 점이 감안돼 발탁됐지만, 선수를 중시하는 정당구조상 쉽지않은 결정으로 보인다.

초선 정책위의장의 등장으로 6명의 정조위원장 가운데 황진하(黃震夏) 제2정조위원장을 제외하고 ▲제 1정조위원장 유정복(劉正福) 의원 ▲ 제3정조위원장 박재완(朴宰完) 의원 ▲제 4정조위원장 이혜훈(李惠薰)의원 ▲ 제5정조위원장 이주호(李周浩) 의원 ▲제 6정조위원장 박찬숙(朴贊淑) 의원 등 5명이 새로 임명됐으며, 정조위원장들은 모두 초선의원으로 짜여졌다.

정조위원장 인선 과정에서 박 대표는 박 정책위의장 내정자의 의견을 존중해 라인업을 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정책입안 과정에서 박 정책위의장의 역할이 강화됨과 동시에 정책결정의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부산 출신으로 민주계에 뿌리를 두고 있는 3선 중진인 김무성 의원을 사무총장에 기용한 것은 당내 화합과 지역안배 등을 염두에 둠과 동시에, 금년 4월 국회의원 재.보선과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장기포석으로 해석된다.

현재 국회 재경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사무총장은 15대 이래 부산에서 내리 3선을 기록한 당내 중진으로 구 통일민주당 총무국장, 원내총무실 행정실장, 민자당 의사국장, 의원국장을 거쳐 청와대 민정.사정1비서관, 구 내무부(현 행자부) 차관 등을 역임, 사무총장 적임자로 꼽히고 있다.

정책위의장이 영남출신에서 서울출신의 비례대표 초선으로 교체된 만큼 사무총장의 경우 당내 최대 세력인 영남쪽에서 맡는게 순리라는게 당내의 일반적인 시각이었다.

특히 김 사무총장은 개혁성향의 당내 소장파와도 막연한 사이어서 보수적인 이미지의 박 대표와 소장파 사이의 가교역을 맡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벌써부터 당내 일부 중진과 소장파들은 이번 박 대표의 당직인선을 "자신의 입맛에 맞는 사람들로 당을 이끌어가겠다는 친정체제 강화이외에는 다른 의미를 찾을수 없다"면서 "당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아울러 박 대표의 이번 인선은 당 운영의 효율성과 기동성을 높이면서 정책 및 홍보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도 담겨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투톱체제'로 운영돼 때로는 혼선 마저 일었던 대변인체제를 전여옥(田麗玉) 대변인 '원톱체제'로 정비하고, 대표비서실장에 여의도연구소 소장 출신의 정책통인 유승민(劉承旼) 의원을 기용한데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박 대표의 '1.11 당직개편'은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의 제청을 거치도록 돼있는 원내대표단에 대해선 손을 대지 못했다는 점에서 '절반의 인선'으로 평가절하하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이 같은 점을 모를리 없는 박 대표가 김 원내대표의 아프리카 방문기간에 전격적으로 당직개편을 단행한 것은 김 원내대표에게 거취문제를 결정하라는 일종의 '압박'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오는 16일 김 원내대표가 귀국한 이후 김 원내대표의 결심에 따라 원내대표단쪽의 추가인선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이번 당직인선에선 당내 비주류 및 중진그룹이 철저하게 소외됨에 따라 예상되는 당내 불안요인도 향후 박 대표가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