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무성 한나라당 사무총장(왼쪽)이 16일 오전 서울 염창동 중앙당사에서 기자들에게 당명 개정과 당 쇄신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
당내 주요그룹 모두“반대”…‘박근혜 2기’ 견제
한나라당의 당명 개정이 난관에 부닥치고 있다. 당내 주요 그룹들이 당명 개정을 고리로 ‘박근혜 2기 체제’에 대한 견제를 본격화할 태세이기 때문이다.
당명 개정 반대에는 소장파, 보수파, 중도성향 모임 등 당내의 거의 모든 그룹이 가세하고 있다. 주장하는 바는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당명 개정으로 박근혜 대표의 친정체제가 강화될 것을 의식하는 모습이다.
임태희·박진 의원 등 중도성향의 의원들이 중심이 된 ‘푸른정책연구모임’은 지난 7∼8일 제주도에서 세미나를 열어, “연초 당명 개정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정리했다. 이재오·김문수 의원이 주축인 중도 성향의 ‘국가발전전략연구회’(발전연)도 당명개정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김문수 의원은 16일 “당명 개정에 원칙적으로 반대한다”며 “당명 개정을 하려면 지도부의 재구성이나 외부세력 영입, 다른 당과의 통합 등 뭔가 계기가 있어야 하는데, 지금은 그런 조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도성향 의원모임인 ‘국민생각’을 이끌고 있는 맹형규 의원도 “당명 개정에 앞서서 당이 확실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보수성향의 의원모임인 ‘자유포럼’의 간사를 맡은 이방호 의원은 “당 체제 개편 직후 당명 개정을 추진할 경우, 박근혜 대표가 당을 사당화한다는 인식을 줄 여지가 있다”며 당명 개정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소장파들이 주축이 된 수요모임의 이성권 의원도 “아무런 변화 없이 지도체제가 바뀌었다고 해서, 이름만 바꾸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무성 사무총장은 “당명 개정은 한나라당이 변해야 한다는 대전제 위에서 필요한 것이지, 특정인의 의도대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며 “의원총회에서 반대 의견이 더 많거나 반대의견이 상당할 경우 다시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한겨레> 정치부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관련기사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