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는 24일 "당초 경기여고 터로 예정됐던 미 대사관 신축 부지로 캠프코이너 내 2만4천평을 주기로 한미간에 의견일치를 봤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경기여고 터와 공사관저가 시내 요지였다는 점과 미 측이 테러 가능성에 대비해 대사관 건물 전후 좌우로 30m 정도의 공간을 요구하고 있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4천500평 규모의 경기여고 터는 미 정부가 1986년 서울시에 현금 29억원과 서울을지로 미 문화원을 넘기고 확보한 땅으로 당시 서울시는 고층의 청사 신축을 허가해주기로 합의한 바 있다.
미 측은 당초 이를 바탕으로 경기여고 터와 공사관저 터에 15층짜리 미 대사관청사와 8층짜리 직원용 아파트를 지어 미국의 종합외교타운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지난 2002년 4월 대사관 신축에 장애가 되는 한국 건축법 개정을 요구했다.
그러나 그 직후 덕수궁 터에 미 대사관 신축을 허용할 수 없다는 여론이 일었고문화재 지표조사가 실시됐으며 지난 21일 문화재위원회가 최종적으로 `보존' 결정을내림으로써 미 측의 대사관 및 직원용 아파트 건축은 결국 무산됐다.
3천300평 규모의 구 공사관저 터는 미 측이 1940년대부터 소유해온 땅으로 미측은 이 땅에 직원용 아파트를 계획해왔다.
그러나 두 지역 모두 최근 문화재위원회에 의해 문화유산 보존지역으로 지정돼향후 어떤 건축물도 지을 수 없게 됐다.
정부의 다른 당국자는 "경기여고 터와 마찬가지로 공사관저 터도 문화유산 보존지역으로 지정되면서 활용이 사실상 불가능해짐에 따라 미 측이 두 지역을 함께 한국 측에 건네겠다며 대신 캠프 코이너 내 대체부지에 이를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미 측은 당초 캠프 코이너 부지가 기존 주한 미국대사관과 비교할 때 청와대 및정부종합청사와 거리가 너무 멀고 한반도 주변 4강국 대사관 가운데 유일하게 4대문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며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으나, 그 후 협의절차에서 캠프 코이너 부지 수용을 결정했다.
(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