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5 11:54 수정 : 2005.01.25 11:54

`3공 과거사'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가운데 10.26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그때 그 사람들'의 시사회가 열려 정치권의 주목을 끌었다.

한나라당은 25일 이 영화가 박근혜 대표의 아버지인 박정희 전대통령 시절을 비판적 시각에서 다뤘다는 점에서 박 대표를 겨냥한 일종의 `문화공세'가 아니냐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예술은 예술일 뿐'이라면서 이 영화에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는 입장을 취했다.

24일 시사회에 참석한 국회 문화관광위 소속 한나라당 이계진 의원은 "정치인으로서 마음이 무거웠다"면서 "역사를 보는 시각은 각각일 수 있는데 동 시대에서 함께 경험하고 살아 숨쉬는 사람이 있는 역사를 이렇게 서둘러 단죄하듯 할 수있느냐. 20년쯤 지났어도 편안하게 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발, 풍자, 해학이나 조롱은 절대권력을 가진 집권층에 하는 것"이라면서 "나락으로 떨어진 야당을 짓밟는 목적이었다면 표현의 자유를 너무 잔인하게 쓴것이 아닌가 싶다"고 덧붙였다.

물론 이 영화의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박 대표는 시사회에 대한 보고를 받고 "그냥 알았다"면서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전여옥( 田麗玉) 대변인이 전했다.

전 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표현의 자유는 존중돼야 한다"면서 "그러나 유족들에 대한 명예훼손은 또다른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승민 대표비서실장도 "박 대표에 대한 공격을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그런(박대표에 대한 공격) 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반면 문광위 소속인 열린우리당 김재홍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이 영화가) 시간도 짧고 소설처럼 쓸 공간도 없고 해서 빈틈도 있었지만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건에 대해 국민들에게 알리는 차원에서 중요한 영화"라고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이 영화가 그 당시 정치권력자들의 명예를 건드리는 부분이 있다고 해도 그 사람들은 사인이 아니라 지금 국민생활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들"이라면서 표현의 자유와 문화예술의 역할을 강조했다.

정청래 의원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영화평에서 박 대표를 겨냥, "어느 정치인의 입장에서 보면 그 심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지만 영화를틀라, 말라할 자유는 없다.

영화는 영화이고 정치는 정치"라면서 "정치적 의도 운운하는 것 자체가 어떤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