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임 교육부총리 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서울=연합뉴스)
|
노무현 대통령이 참여정부 출범 때 교육부총리에대해서는 ‘임기를 같이 하겠다’고 공언했으나 2년이 채 안돼 2명이 바뀌게 됐다.
윤덕홍 참여정부 초대 부총리가 9개월여만에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문제로인한 교육계 분열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복수정답 파문 등으로 스스로 물러난데이어 안병영 부총리도 1년여만에 수능부정 등에 책임을 지는 형태로 교체된 것.
노 대통령은 교육부총리 교체 배경에 대해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바람이 세면시끄럽고 어려운 일 맞이하게 되는 법”이라며 “작년에 교육혁신 등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교육에 대한 불만이 가득해 바꾸게 됐다”고 밝혔다.
그만큼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교육계 수장을 맡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 반증하는 것.
◆“매일 지뢰밭 걷는 기분” = 크리스마스 이브인 2003년 12월24일 취임한 안 부총리는 취임 1년을 맞아 지난해 12월23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다시 장관직을 맡으면서 어떠하리라는 것은 예견했지만 생각했던 것보다 힘들었다”고 술회했다.
“현안에 매몰되기 보다 가능한 한 정책으로 승부하자고 다짐했으나 1년 내내 시도 때도 없이 현안이 물결치듯 엄습해왔고 대적하기에 힘이 부쳤다”는 것.
그만큼 안 부총리가 취임한 뒤에도 교육계는 사교육비 경감대책, EBS 수능강의,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고교등급제 및 내신 부풀리기 파동, 평준화 논쟁, 사립학교법 개정, 수능시험 부정행위 등으로 여느 때처럼 시끄러웠고, 특히 이념 대립과교육주체간 입장 차이를 첨예하게 드러냈었다.
가장 먼저 터진 것이 평준화 논쟁.
지난해 1월말 서울대 한 연구소가 서울대 입학생의 사회. 경제적 특성과 평준화제도를 결부시킨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해묵은 평준화 논쟁이 재점화된 뒤 경제계와교육계가 맞붙어 수월성 교육이냐, 평등교육이냐를 놓고 말싸움을 벌였다.
그 후에도 국회 교육위 이주호 의원(한나라당)이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원이던 2월말 “비평준화고를 다니면 그 자체로 전국 석차가 오르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또 결론없는 논쟁이 한 차례 더 일었다.
이어 지난 9월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이 발표된 직후에는 고교등급제와 내신 부풀리기 공방이 일어 교육주체간 이전투구 양상이 빚어지기도 했다.
11월17일 수능 시험장에서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 국제적으로 망신을 살 만한 부정행위가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그 밖에도 사학개혁과 유아미술학원 유아교육비 지원을 둘러싸고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모든 세력이 벌떼처럼 일어나 ‘밥그릇’을 건 혈투를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수능부정은 감독체계 등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의 실패’를 보여줬기 때문에 책임지라면 책임질 각오도 돼 있었다”는 안 부총리의 말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결국 현실화된 셈이 됐다.
▲“1년간 열심히 일했다” = 안 부총리는 취임 1년 기자간담회에서 “현안에 대응해 해결책을 도모하는 한편 미래정책 개발에 소홀함이 없도록 1년동안 열심히 일했다”고 자평했다.
그는 “EBS 수능강의 등 ‘2.17 사교육비 경감대책’을 추진해 가시적인 사교육비경감 효과를 냈으며 사이버 가정학습 체제 구축, 교수-학습지원센터 개통 등을 통해e-러닝 학습 기반을 마련했고 인적자원 개발 추진전략도 수립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2008학년도 대입개선안, 교육복지 종합대책, 교원 양성.연수.평가체제 개선안, 대학구조개혁안, 직업교육 강화방안, 지방대 혁신역량 강화(NURI) 사업 등 교육부가 내놨던 굵직굵직한 정책을 열거하며 “나름대로 성과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념의 세계에서는 ‘형평성’과 ‘수월성’ 둘 중에서 하나를 택하지만 저희는 그럴 수 없다”며 상위 5%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도 예로 들었다.
그는 “새해 들어서도 발표할 게 20여가지가 되고 특히 1월에는 초등은 인성.창의성 개발, 중등은 사회적 형평성과 수월성의 조화, 대학은 경쟁력 강화와 자율성에역점을 두고 각종 교육개혁안을 하나의 새로운 틀로 묶어 ‘장기 청사진’을 제시하겠다”며 의욕을 보이기도 했으나 이는 결국 후임자의 몫이 됐다.
교육부 한 국장은 “교육계 인사들로 교육발전협의회를 구성해 각종 현안을 해결하기로 하는 등 교육계가 갈등과 반목, 불신에서 벗어나 신뢰를 다질 수 있는 기반을 안 부총리가 마련했다는 사실은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