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4.28 10:32
수정 : 2019.04.28 12:58
|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1주년 기념식'에서 1년 전 남북 정상이 처음 조우한 군사분계선에서 미국의 첼로 거장 린 하렐이 바흐의 무반주 첼로 조곡 1번을 연주하고 있다.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
한미중일 4개국 아티스트가 전한 평화의 선율…보아는 ‘이매진' 불러
문재인 대통령·프란치스코 교황, 영상 축전 보내
|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1주년 기념식'에서 1년 전 남북 정상이 처음 조우한 군사분계선에서 미국의 첼로 거장 린 하렐이 바흐의 무반주 첼로 조곡 1번을 연주하고 있다.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맞은 27일 저녁 한·미·중·일 4개국을 대표하는 아티스트 10여명이 연주하는 평화와 화합을 소망하는 선율이 한반도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감쌌다. ‘먼, 길’, ‘멀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을 주제로 열린 선언 1주년 기념공연 ‘평화 퍼포먼스’는 이날 저녁 7시부터 50여분가량 진행됐다.
아티스트들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년 전 정상회담 당시 함께 거쳐 간 판문점 내 장소 6곳을 따라 이동하는 형식으로 대중음악과 클래식 음악, 미디어 아트 등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한 공연을 했다. 맨 처음 등장한 미국 첼로의 거장 린 하렐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처음 악수한 군사분계선 앞 ‘T2-T3’ 사잇길에서 바흐의 <무반주 첼로 조곡 1번>을 연주했다.
이어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기념식수를 했던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소회의실(T3) 옆 잔디밭 길에서는 일본인 연주자들의 공연이 펼쳐졌다. 플루티스트 다카기 아야코가 작곡가 윤이상의 곡을, 피아니스트 우에하라 아야코는 슈만의 곡을 연주했다.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 OST 가운데 ‘메리고라운드’도 함께 연주했다.
|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1주년 기념 공연’에서 피아니스트 우에하라 아야코가 연주하고 있다.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
남북 정상이 단둘이 대화를 나눈 도보다리에서는 한국인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이 바흐의 ‘샤콘’을 연주했고, 두 정상이 국군 의장대를 사열했던 곳에서는 중국 첼리스트 지안 왕이 한국인 첼리스트들과의 협연을 통해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를 연주했다.
악동뮤지션의 이수현은 영화 <포카혼타스> OST에 실린 ‘바람의 빛깔’을 노래했다. 한국어로 번역한 가사에는 “마음의 문을 활짝 열면 온 세상이 아름답게 보인다”며 존중과 화합의 메시지가 담겼다.
피아니스트 김광민과 가수 보아는 정상회담 장소였던 ‘평화의 집’ 맞은편 잔디에서 존 레넌의 ‘이매진’(Imagine)을 들려줬다. 보아는 “당신도 함께해 세상이 하나가 되길 바란다”(I hope some 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be as one)며 “모두가 함께 평화롭게 사는 모습을 상상해보자”(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life in peace)고 노래했다.
마지막 순서로 작곡가 겸 연주가 정재일, 소리꾼 한승석, 오케스트라, 합창단이 ‘미디어 파사드’(외벽에 비추는 영상)와 함께 ‘저 물결 끝내 바다에’라는 곡을 평화의 집을 무대로 공연했다.
연주자들의 공연 사이사이에는 영상 등으로 메시지를 전했다. 오프닝 영상 ‘7·4 남북공동성명에서 평양공동선언까지’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의 역사와 결실을 “박정희 대통령의 꿈” “노태우 대통령의 도전” “김대중 대통령의 소망” “노무현 대통령의 바람” 등의 내러티브로 함축해 표현했다. 정재일·한승석 듀오의 공연에는 곡 중간 문 대통령의 육성이 깜짝 등장했는데, 문 대통령이 작년 9월 평양 5·1경기장에서 한 연설 중의 일부였다.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이 공연한 도보다리에는 남북정상이 단둘이서 긴밀한 대화를 나눴던 당시의 테이블 모습이 재연돼 있었다.
|
도보다리 위에 1년 전 남북 정상이 단둘이 산책하고 대화를 나눴던 당시의 테이블 모습이 재연돼 있다.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
문 대통령은 행사에 참석하지는 않았지만 영상 축전을 통해 선언 1주년의 감회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모두, 또 남과 북이 함께 출발한 평화의 길”이라며 “판문점 선언이 햇수를 거듭할수록 우리는 되돌릴 수 없는 평화, 함께 잘사는 한반도를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영상 메시지를 보내 “판문점선언 1주년이 모든 한국인에게 평화의 새 시대를 가져다주기를 기도한다”고 축원했다.
행사에는 미국·일본·중국·러시아·독일 등의 대사급 인사를 포함한 주한 외교사절단과 유엔사 군사정전위 관계자, 서울시와 경기도 주민 등 410명이 참석했다.
판문점공동취재단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