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2.27 14:56
수정 : 2019.02.27 16:28
|
25미터 상공에서 찍은 류구 표면. 하야부사2호의 그림자가 선명하다. JAXA 제공
|
하야부사2호, 이륙 직후 촬영
탐사선 그림자 선명히 드러나
|
25미터 상공에서 찍은 류구 표면. 하야부사2호의 그림자가 선명하다. JAXA 제공
|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호가 소행성 류구(龍宮)에 착륙한 직후 촬영한 사진이 공개됐다.
일본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JAXA=작사)는 25일 하야부사2호가 지난 22일 지구에서 3억4000만㎞ 떨어진 소행성 류구에 잠시 내린 뒤 다시 이륙하면서 고도 25미터 지점에서 광학 카메라로 류구 표면을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지금까지 보내온 사진 가운데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촬영 시점은 착륙 1분 후이며 몇미터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작사는 밝혔다.
|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이 착륙 목표지점, 보라색 원이 착륙 예상 지점이다.
|
사진을 보면 햇빛을 받아 생긴 하야부사2호의 그림자가 선명하다. 그림자 아래 쪽으로 커다란 얼룩처럼 보이는 부분이 있는데, 이곳이 바로 착륙 예상 지점이다. 작사는 "착륙 지점의 색깔이 변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탐사선 이륙시 추진장치나 표본주십을 위해 발사한 탄환의 영향으로 표면의 먼지 등이 공중에 흩어지면서 생겼을 수 있다"고 밝혔다. …
사진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흰색 점이 착륙 목표 지점이다. 영국 <비비시>에 따르면 착륙 예상 지점과 목표 지점의 거리는 4~5미터로 추정된다. 하야부사2호는 앞으로 연말까지 두 차례 더 표본 수집을 위한 착륙을 시도한 뒤 2020년 12월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
소행성 류구의 공전 궤도(흰색선).
|
1999년 미 MIT 링컨연구소가 발견한 소행성 류구는 지름 950m로, 지구와 화성 사이에서 16개월에 한 번씩 태양궤도를 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