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성의 구조 혜성이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희미한 핵 만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혜성은 그 핵의 지름이 수 km 정도이고 큰 것도 수 십 km를 넘지 않는다. 혜성의 핵은 주로 얼음과 티끌, 가스 등이 뭉쳐진 덩어리로 흔히 지저분한 얼음덩어리라고 불린다. 혜성이 태양과 지구까지 거리의 수 배 정도 거리에 이르게 되면 핵의 온도가 올라가 얼음이 증발하면서 지름이 수 십만 km 정도 되는 거대한 가스의 무리를 만든다. 이 가스의 무리를 코마(Coma)라고 부르는데, 혜성의 핵과 코마를 합친 부분을 혜성의 머리라고 한다. 혜성이 태양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태양에서 불어오는 태양풍에 밀려 혜성의 꼬리가 생긴다. 따라서 혜성의 구조는 핵과 코마를 합친 머리와 꼬리로 나눠지게 된다. 혜성의 꼬리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가스 꼬리(이온꼬리라고도 함)와 먼지꼬리(티끌꼬리라고도 함)가 바로 그것이다. 이중 가스꼬리는 가스들이 태양풍에 의해 뒤로 밀린 것들로 태양의 반대편으로 길게 생긴다. 먼지꼬리는 핵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나 티끌 같은 굵은 입자들이 자신의 공전 궤도 쪽으로 밀려나가서 생긴 구부러진 꼬리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꼬리는 푸른빛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전기를 띤 가스의 입자들이 내는 빛이다. 이에 반해 먼지꼬리는 태양 빛을 반사하여 노랗게 보인다. (이태형 - 과학칼럼리스트)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과학일반 |
오늘 밤에는 밖으로 나가 혜성쇼를 보자 |
혜성의 구조 혜성이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희미한 핵 만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혜성은 그 핵의 지름이 수 km 정도이고 큰 것도 수 십 km를 넘지 않는다. 혜성의 핵은 주로 얼음과 티끌, 가스 등이 뭉쳐진 덩어리로 흔히 지저분한 얼음덩어리라고 불린다. 혜성이 태양과 지구까지 거리의 수 배 정도 거리에 이르게 되면 핵의 온도가 올라가 얼음이 증발하면서 지름이 수 십만 km 정도 되는 거대한 가스의 무리를 만든다. 이 가스의 무리를 코마(Coma)라고 부르는데, 혜성의 핵과 코마를 합친 부분을 혜성의 머리라고 한다. 혜성이 태양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태양에서 불어오는 태양풍에 밀려 혜성의 꼬리가 생긴다. 따라서 혜성의 구조는 핵과 코마를 합친 머리와 꼬리로 나눠지게 된다. 혜성의 꼬리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가스 꼬리(이온꼬리라고도 함)와 먼지꼬리(티끌꼬리라고도 함)가 바로 그것이다. 이중 가스꼬리는 가스들이 태양풍에 의해 뒤로 밀린 것들로 태양의 반대편으로 길게 생긴다. 먼지꼬리는 핵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나 티끌 같은 굵은 입자들이 자신의 공전 궤도 쪽으로 밀려나가서 생긴 구부러진 꼬리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꼬리는 푸른빛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전기를 띤 가스의 입자들이 내는 빛이다. 이에 반해 먼지꼬리는 태양 빛을 반사하여 노랗게 보인다. (이태형 - 과학칼럼리스트) 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