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6.19 05:00 수정 : 2019.06.19 07:30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원인에 대한 정부원인조사반의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붉은 수돗물’ 중간조사 결과 발표
배수 충분히 않고 물 공급체계 바꿔
탁도계 고장나 초동 대응도 놓쳐
인천시, 상수도본부장 등 2명 직위해제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원인에 대한 정부원인조사반의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인천 지역의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는 무리한 수돗물 공급체계 전환(수계 전환) 때문에 발생했으며, 인천시가 초동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해 피해를 키웠다는 정부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인천시는 이번 사태의 책임을 물어 상수도사업본부장과 공촌정수사업소장을 직위해제했다.

18일 환경부가 발표한 정부원인조사반의 중간 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반은 이번 붉은 수돗물 사태의 직접적 원인이 무리한 수계 전환에 있다고 판단했다. 수계 전환은 정수장들의 급수 구역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 원래 인천 서구 지역 수돗물은 서울 풍납취수장에서 취수해 성산가압장을 거쳐 인천 서구 공촌정수장으로 보내진다. 이들 취수장과 정수장이 전기설비 점검으로 가동을 잠시 중단한 사이 인천 남동구의 수산·남동정수장에서 수돗물을 대체 공급했고, 이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수돗물 공급을 바꿀 때의 조처를 규정해놓은 ‘국가건설기준’을 보면, 수계 전환 때는 녹물이 생기지 않도록 충분한 시간을 두고 배수하고 제수밸브를 이용해 물 흐름을 늦춰야 하지만, 인천시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통상 10시간 이상의 사전 배수 시간이 필요한데, 시는 이런 절차를 무시하고 평소 2배의 유량을 물 흐르는 방향과 반대로 흘려보냈다. 이 때문에 관 바닥과 벽에 붙어 있던 물때가 떨어져 물에 섞였다는 것이 조사반의 설명이다.

수계 전환에 앞서 수돗물 대체 공급을 위한 대응 시나리오 작성 때도 인천시는 지역별 밸브 조작 계획만 세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조작 단계마다 수질 변화를 확인해야 했지만 그러지 않아 제때 대응하지 못한 것이다.

물의 탁한 정도를 측정하는 탁도계가 고장 났는데도 인천시가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도 드러났다. 시는 그동안 정수지 탁도가 기준 이하라고 밝혀왔으나, 환경부 조사 결과 탁도계는 이미 고장 나 있었다. 공촌정수장의 탁도계는 수계 전환 작업이 이뤄진 지난달 30일 급격히 탁도가 증가한 뒤 고장 났고, 인천 검단 지역의 탁도계는 애초 고장 난 상태였다. 이에 따라 30일 수계 전환 뒤 공촌정수장과 이어진 배수지들의 탁도가 평소(0.07NTU)보다 약 1.5∼3.4배(0.11~0.24NTU)까지 올라갔는데도 초동 대응이 이뤄지지 못해 피해를 최소화할 최적시간을 놓친 것으로 보인다고 조사반은 분석했다.

환경부는 붉은 수돗물을 직접 마시지 말라고 권고했다. 조사반이 붉은 수돗물로 오염된 필터에서 나온 이물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알루미늄 43.8%, 망간 25.5%, 철 1.3%, 기타 29.4%의 비중으로 파악됐다. 정상 수돗물에서는 망간과 철이 검출되지 않는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문가들은 이런 물질이 함유된 물의 경우 정수기와 필터로 한번 거른 물은 음용 가능하지만 필터 색상이 쉽게 다시 변하는 상황이므로 수질 기준과 상관없이 음용을 권장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14일부터 공촌정수장 정수지를 청소하고 물 사용량이 적은 늦은 밤 시간대를 이용해 19일부터 23일까지 오염수 배수 작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송수관로와 배수지 청소도 23일까지 끝낼 계획이다. 수돗물은 22일부터 순차적으로 정상 공급될 전망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사태의 직접적인 책임 당사자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책임자 직위해제와 함께 별도 외부 감사기관에 감사를 의뢰해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인사 조처를 하겠다”고 말했다.

박기용 최예린 이정하 기자 floy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