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줄기 끝을 뭉치게 하여 곤충을 타격하는 물총고기
|
■ 조홍섭 기자의 <물바람숲> 바로가기
근육 힘 6배 증폭 물방울 뭉쳐 목표물 타격
별도 기관 없이 워터 제트 수력학 특성 이용, 잉크제트 프린터 원리
필리핀이나 호주 등 동남아 홍수림에는 물 밖 나뭇잎 등에 붙은 곤충에게 물을 쏘아 잡는 특이한 물고기가 산다. 길이 5~10㎝의 작은 담수어인 이들은 물 밖 2m까지 떨어진 식물에 붙어있는 메뚜기, 거미, 나비 등에 입으로 강한 물줄기를 쏘아 정확히 잡아내 물총고기란 이름을 얻었다.
이들의 기발한 사냥법이 처음 발견된 것은 1764년이었지만 어떻게 명사수처럼 물을 쏘는지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됐다. 습지에 사는 곤충은 물에 떨어지는 것이 치명적이어서 자기 몸무게보다 10배쯤 강한 힘으로 식물을 꽉 붙들고 있다. 물 표면에서 상당한 거리를 두는 건 물론이다.
그런데도 강력한 물줄기를 쏘아 곤충을 잡는 물총고기에 대해 정밀한 해부와 근육의 생리학적 조사를 했지만 비밀은 풀리지 않았다.
최근 밀라노 대학의 연구진은 고속 비디오 촬영과 수력학적 분석을 통해 물총고기 사냥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 원> 최근호에 낸 논문에서 입에서 발사한 물줄기가 목표에 다가갈수록 점점 속도가 빨라지고 형태도 물방울처럼 바뀐다고 밝혔다. 게다가 근육보다 6배나 증폭된 힘을 내는 비결은 특별한 물고기 내부 기관이 아니라 잉크제트 프린터에서 쓰이는 물방울의 수력학적 속성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
물줄기 가속 단계(A~C), 물방울 형태로 변환(D~E), 목표물 적중(F). 그림=알베르토 바일라티
|
|
물총고기는 입을 교묘하게 조절해 물줄기의 파괴력을 높인다. 사진=오픈 케이지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Vailati A, Zinnato L, Cerbino R (2012) How Archer Fish Achieve a Powerful Impact: Hydrodynamic Instability of a Pulsed Jet in Toxotes jaculatrix. PLoS ONE 7(10): e47867. doi:10.1371/journal.pone.0047867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조홍섭 기자의 <물바람숲> 바로가기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