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지진 걱정 없는 서울에 핵발전소를 짓자!
우리나라의 수도 서울은 핵발전소를 건설하기에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핵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입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물...
2016-09-19 16:25
동물들 털 청소 비법 본받아 태양전지판에 눈썹을 달까?
동물은 체온을 지키는 등 환경에 적응하느라 털을 진화시켰다. 꿀벌에는 다람쥐와 비슷한 300만개의 털이 나 있다. 확대경으로 본 나비와 나방은 털북숭이여서 100억개 가까운 털로 덮여 있...
2015-11-10 20:21
새끼돌봄·잠자기 등 습성 악어, 도마뱀보다 새 닮아
생김새와는 달리 악어는 생물학적으로 도마뱀보다 새에 가깝다. 분류학에서 악어는 새, 그리고 멸종한 공룡, 익룡과 함께 ‘지배파충류’로 묶는다. 고생대 페름기부터 3억년 가까이 지구상에 ...
2015-11-03 20:31
송사리의 물 밖 외출 물 뜨거워 체온 조절
날씨가 너무 더우면 우리는 종종 물속으로 뛰어들어 몸을 식힌다. 그런데 물에 사는 생물은 수온이 너무 오르면 어떻게 할까. 열대 홍수림에 사는 점박이송사리는 물 밖으로 뛰어나간다. ...
2015-10-27 20:47
꿀에 카페인 섞어 식물, 꿀벌 조종
영국에서 노동자 계급에 홍차를 보급한 배경에는 노동자들이 오후에 피로를 풀고 더 열심히 일하도록 만들려는 자본가의 의도가 도사리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런데 영국 자본가보다 훨씬 ...
2015-10-20 20:42
씨앗을 영양 똥처럼 위장…쇠똥구리 속여 땅에 묻게
식물이 번식을 위해 동물을 속이는 일은 흔하다. 어떤 난의 꽃은 암컷 벌 무늬를 갖춘데다 페로몬까지 풍겨 수벌을 끌어들이고 그 과정에서 꽃가루받이를 한다. 그런데 씨앗으로 곤충을 속...
2015-10-13 20:17
교대로 망보고 먹이 먹는 물고기의 호혜행동
흔히 물고기는 둔하고 사회성 없는 찬피동물로 그려진다. 그런 선입견이 차츰 깨지고 있다. 지적이고 사회성 있는 물고기가 발견되고 있다. 상대방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나중에 보상을 받...
2015-10-06 20:37
치아 에나멜질은 원시 물고기 피부에서 왔다
사람 몸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는 이 표면을 감싸고 있는 에나멜질(법랑질)이다. 인산칼슘이 주성분인 에나멜질은 어디서 왔을까. 중국과 스웨덴의 고생물학자와 유전체학자가 손을 맞잡고 이...
2015-09-29 20:35
3만년 전 동토서 거대 바이러스 발견
광학현미경으로도 보이는 ‘거대 바이러스’가 2003년 학계에 처음 보고돼 큰 관심을 모았다. 바이러스란 원래 워낙 작고 단순해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 연구...
2015-09-22 19:43
벌새가 참매를 좋아하는 이유…등잔 밑이 안전해
최상위 포식자는 먹이를 잡아먹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한다. 그러나 직접 잡아먹는 것 말고도 중간 포식자의 행동을 제한하는 등 간접적인 효과도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애리조나...
2015-09-15 20:52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
2
3
4
5
6
7
8
9
1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