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건강 |
우리도 모르게 항생제 섭취한다 |
우리가 먹는 축.수산물에서 성장 촉진제 등으로사용되는 항생제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의사협회(협회장 김재정)와 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윤준하.신인령)이 20일오후 2시 한국언론재단에서 개최한 `환경 속 항생제,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심포지엄에서 서울의대 조수헌 교수(예방의학과)는 `의료 밖에서 사용되는 항생제 현황과문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은 문제점을 제기했다.
조 교수는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닭에서 분리된 포도상구균의 경우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이 96%에 달했으며 국내에서 개발된 3세대 항생제 퀴놀론을 투여해도 대장균의 43%가 살아남은 것으로 나타나 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2%에 불과한 덴마크에 비해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무엇보다 큰 문제는 잔류 항생물질이 사람으로 전이되어 인체감염시 치료하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최근 새로운 항생제 개발은 10년 전에 비해 10분의 1로 둔화됐지만 중요 항생제에 대한 내성 발현과 확산은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따라서 현 시점에서 항생제 내성에 대한 최선책은 배합사료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의 종류를 감축하는 것"이라며 보건당국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또 소비자보호원 정윤희 식품미생물팀장은 "`생활 속의 항생제 사용과 대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수의사 처방에 의한 항균제 사용 제도를 실시하며 필수 인체용 항균물질에 대한 내성세균의 출현과 감염예방을 위한 특정 관리전략을 수립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경북의대 조동택 교수(미생물학교교실)는 `동물 및 환경에서 분리된 항의생제 내성균 과내성유전자'라는 주제를 통해 "이미 유럽에서는 수의용 항생제 사용과 내성균 발생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조사가 진행 중이며 유럽 각국이 단위 육류생산량에 비례해 항생제 종류와 소모량을 관리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