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람선생의 먹기살기
여름엔 치맥(치킨에 맥주), 겨울엔 삼쏘(삼겹살에 소주)다. 왜 닭이고 돼지인가. 한국인의 유전자 속에는 여름엔 닭, 겨울엔 돼지를 최고로 치는 전래법이 빛바랜 우체국 소인처럼 남아 있다. 조선시대엔 소고기는 유통이 금지된 불법 음식이었으니 서민의 음식이 아니다. 물론 귀한 탓도 있었지만 여름에는 소가 풀만 먹는다고 해서 푿소라 부르며 보양식에서 제외했다. 한반도의 새벽은 돼지우리 지붕에 올라간 닭 울음소리로 시작되었다. 오행론에 따르면 목성인 닭은 같은 목성인 간을 돕는다. 여기에 목생화(木生火)라. 더위로 냉해진 속을 덥혀준다. 위가 약해 위암 발병률이 가장 높은 우리 체질에 닭은 특히 여름 건강을 돕는 보양원이다. 돼지는 수성이니 신장을 도와 ‘돼지고기를 먹어야 뒷심이 생긴다’고 했다. 또 수생목(水生木)이라. 목성인 간을 보한다. 해마다 보릿고개만 되면 누렇게 뜬 자식들의 얼굴을 보는 부모님들은 남모르는 눈물을 흘렸다. 황달은 영양실조와 간 건강의 지표다.
|
치킨과 맥주
|
|
삼겹살과 소주
|
|
김인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