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8.28 11:46 수정 : 2017.08.28 11:46

‘생리대 전수조사’ 식약처 결정에
“화학물질 관리 패러다임 바꿔야” 목소리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유통 중인 생리대 전 품목에 대해 문제가 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조사하겠다고 밝혔지만, 위생용품 전반에 쓰이는 화학물질의 안전성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참에 화학물질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인다.

식약처는 지난 25일 전문가 회의를 열고 최근 3년간 생산·유통된 생리대 전 품목(56개사 896개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함유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여성환경연대의 지난 3월 생리대 시험결과 발표에서 검출된 휘발성유기화합물 가운데 비교적 위해도가 높은 벤젠, 스티렌 등 10종을 중심으로 이르면 9월말까지 검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가기술표준원이 관리하는 어린이와 성인용 기저귀에 대해서도 같은 조사를 벌인다. 23일 생리불순 등 부작용 논란이 인 릴리안 생리대를 정기검사 대상에 포함하겠다고 발표한 뒤에도 사태가 가라앉지 않자 내놓은 대책이다.

하지만 생리대 문제를 처음으로 제기한 여성환경연대는 26일 발표문을 통해 “식약처는 생리대뿐 아니라 각종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전반적으로 조사해야 한다”며 “각종 생식독성, 발달독성, 피부 알레르기 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을 생리대 허가기준에 포함해 여성 건강을 보장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다 근본적 조처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김창엽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시민건강증진연구소 소장)도 “가습기 살균제, 계란, 생리대 논란은 비슷하게 반복됐다. 안전 여부가 불확실한 화학물질이 나날이 새로 만들어져 쓰이는데도 국가는 십수년 전 기준으로 관리한다. 관료적, 행정감독적 방식의 관리는 이미 불가능해졌다. 지금 방식 그대로면 앞으로도 이런 논란이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지난해 환경단체들이 공표한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요구하는 국민선언’에 이런 생각이 담겨 있다. 기업의 책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생산자는 안전이 입증된 물질만 쓰고, 불확실하면 쓰지 말아야 한다. 불확실한 것을 썼을 때의 결과에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기업의 책임을 분명히 하는 게 국가의 구실이어야 한다. 화학물질 안전 관리에 관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