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9.28 22:17
수정 : 2017.09.28 22:29
|
여성환경연대가 8월24일 기자회견을 열어 ‘일회용 생리대 부작용 규명과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한겨레 신소영 기자
|
유해성분 74종·농약류 검사 빠져
|
여성환경연대가 8월24일 기자회견을 열어 ‘일회용 생리대 부작용 규명과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한겨레 신소영 기자
|
생리대 유해성 논란은 그동안 우리 사회가 생리 등 여성 건강 문제를 등한시해온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살충제 계란과 더불어 케모포비아 현상이 온 사회를 뒤흔들 만큼 화학물질에 대한 막연한 공포와 정부에 대한 불신이 논란을 키우는 데 한몫을 했다.
생리대 위해성 논란은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가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여성환경연대는 토론회를 열어 생리대 제품 10종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됐다는 김만구 강원대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제품 이름을 가리고 공개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조사를 요구했다. 하지만 식약처는 지난해 10월부터 생리대 위해성 연구 용역을 하고 있다며, 이 결과를 기다려 보자고 했다. 전세계적으로 생리대에 들어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위해성에 대한 연구 결과나 위해성 기준이 나와 있지 않은 상황을 반영한 판단이었다.
이 와중에 지난달 일부 언론을 통해 릴리안 생리대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많이 검출된 김 교수팀 연구 결과가 공개되면서 파장이 커졌다. 이어 여성환경연대는 이 생리대를 사용한 소비자들의 피해 사례가 많다며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다. 이에 식약처는 김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통상적인 시험 방식이 아니라는 이유로 신뢰할 수 없다고 밝혔으며, 해당 연구 결과를 여성환경연대에서 제출받았지만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해당 연구 결과를 공개하자, 결국 지난 4일 식약처가 기존 방침을 뒤집고 김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언론에 공개하면서 정부에 대한 불신도 커졌다.
근본적으로는 여성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없는 것이 이번 사건의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윤정원 녹색병원 산부인과 과장은 “생리대 사용으로 피부 발진이나 생리량 감소 같은 증상을 호소해도 ‘생리 혼자만 하느냐’는 얘기를 듣는 환경에서 그동안 묵살됐던 여성의 목소리가 이번 논란 과정에서 큰 분노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박기용 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