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7.30 18:46 수정 : 2019.07.30 20:26

복지부, 하루 1갑씩 30년 이상 피운 54~74살 대상
방사선 노출량 줄인 시티(CT)검사로 검진실시하기로

약 1만원 검사비 내고 2년에 한번씩 검사 일정
과잉진단 반대 의사들 “가짜 양성으로 의료비 낭비”

이정권(가정의학과) 성균관의대 교수와 신상원(종양내과)·안형식(예방의학교실) 고려대의대 교수, 이재호(가정의학과) 가톨릭의대교수 등 의사 7명으로 구성된 과잉진단예방연구회는 지난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있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가 폐암 검진을 정부가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권하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며 반대 의견을 주장했다.
국가 검진으로는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폐암 검진 사업이 다음달 5일부터 시작된다. 대상은 매일 하루 1갑씩 30년 이상 담배를 피운 만 54~74살의 흡연자다.

보건복지부는 만 54살부터 74살까지의 장기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저선량 컴퓨터단층촬영(CT) 폐암 검진사업을 다음달 5일부터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 저선량 시티는 방사선 노출량을 크게 줄인 검사로, 자칫 고농도의 방사선에 노출돼 암 등 중증질환이 생길 것을 우려해 나온 검사다. 검진사업은 암 검진 실시기준(고시)에 따라 만 54∼74살 남녀 가운데 30갑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2년 주기로 시행한다. 갑년은 하루 평균 담배소비량에 흡연 기간을 곱한 값으로, 30갑년은 매일 1갑씩 30년을 피우거나 매일 2갑씩 15년을 피우는 것을 뜻한다.

검진은 2년에 한번씩 하기 때문에 올해는 홀수년도 출생자가 검진 대상자이다. 검진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31일부터 발송하는 폐암 검진표(안내문)와 신분증을 가지고 검진표에 나와 있는 폐암 검진기관을 방문하면 된다. 검사 기간은 내년 12월 말까지이다. 폐암 검진비는 약 11만원 가운데 10%인 약 1만원을 내면 된다. 건강보험료 하위 50%와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본인부담금이 없기에 무료로 검진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지난 29일 기준 총 230개 폐암 검진기관(종합병원급 이상 일반검진기관)을 지정했다. 지정된 폐암 검진기관은 건강보험공단 누리집의 건강 인(hi.nh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복지부는 폐암 검진 뒤에는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하면 검진기관의 금연치료 지원사업과 연계해 금연상담 등 사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폐암은 우리나라에서 암 사망 중 1위이다. 2017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암 종류별 사망률은 폐암 35.1명, 간암 20.9명, 대장암 17.1명, 위암 15.7명 등 순이었다.

폐암 검진에 대해서는 국가 검진 프로그램으로 도입된 사례가 세계적으로 찾기 힘들다며, 자칫 가짜 양성으로 의료비 낭비는 물론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이정권(가정의학과) 성균관의대 교수와 신상원(종양내과)·안형식(예방의학교실) 고려대의대 교수, 이재호(가정의학과) 가톨릭의대교수 등 의사 7명으로 구성된 과잉진단예방연구회는 지난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있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폐암 검진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거나 국가가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권하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며 “국가 폐암검진은 의료의 본질을 망각한 위험한 정책으로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회가 폐암 검진에 대해 국내외 자료를 조사해 이날 공개한 결과를 보면, 미국의 경우 자발적으로 폐암 검진을 받은 국민 1천명 가운데 351명은 가짜 양성이 나왔다. 즉 검진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 35%는 암이 아닌데도 검진에서 암이 의심된다고 나와 암이라는 공포에 떨어야 했고, 이후 추가로 값비싼 확진 검사를 받아야 했다는 것이다. 실제 가짜 양성으로 나온 환자 351명 가운데 3명은 암이 의심된다는 폐 조직을 일부 떼어 내어 검사하는 과정에서 합병증이 생겼고, 1명은 사망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연구회는 “방사선 노출이 적은 저선량 시티(CT)검사로 한다고 하지만 이 방법이 흡연자들의 폐암을 조기에 발견해 검진법으로 적절하다는 근거를 세계적으로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