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팀 간부개입 부정입사 확인
기아차 광주공장의 채용비리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면서 현대차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자칫 수사의 불똥이 튀지 않을까 해서다. 노조 홈페이지 등에는 입사 관련 비리 제보가 오르내리고 있다.
현대차 고위 관계자는 25일 “현대차는 기아차와 사정이 완전히 다르다”면서도, “파장이 가라앉기만을 기다릴 뿐“이라며 착잡한 심경을 털어놨다. 이는 검찰 수사가 길어질수록 현대차도 이런 저런 의혹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른 관계자는 “정몽구 회장이 기아차 사건을 보고받고 과거 경영진들이 허위보고를 했다며 크게 화를 낸 것으로 안다”며 “윤국진 기아차 사장을 비롯해 광주 공장장과 인사실장 등을 경질시킨 것도 사안의 심각성을 알고 서둘러 수습하기 위해서였는데 파문이 이렇게 확산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1998년 기아차를 인수한 현대차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임직원들에게 함구령을 내리고 철저한 입단속을 시키고 있다. 특히 인사와 총무 등 노무관리 부서는 직원 채용과 관련해 사내에서까지 보안 유지에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 현대차는 이런 내부 사정을 이유로 지난해 울산과 전주, 아산 등 3개 공장에서 이뤄진 생산직 채용 규모에 대해서조차 입을 다물고 있다.
노조 홈페이지 등에 오른 입사비리 제보는 회사 쪽을 더욱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지난 23일 이 회사 노조 홈페이지에는 “지난해 봄 노조 간부와 회사 인사담당 브로커가 짜고 50여명의 신입 사원으로부터 각각 3천만원씩 15억원의 금품을 받았다”는 익명의 글이 실렸다. 이 제보자는 “기아차의 인사 청탁이나 노조 간부의 금품수수보다 엄청나게 큰 파장을 불러 올 수 있는 조직 사건인데도 현대차그룹에서 쉬쉬하며 덮어버렸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제보자는 “지난해 5~6월 조카가 울산 현대자동차에 입사 조건으로 2천만~3천만원을 주기로 하고 1천만원을 입금했는데, 달 뒤 일이 잘안된다며 돈이 되돌아왔다”는 글을 올렸다.
이에 대해 노조 쪽은 “인사에 노조가 개입한 일은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회사 쪽은 “떠도는 소문과 추측은 사이버 테러 수준”이라며 “지금까지 확인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