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26 17:43 수정 : 2005.01.26 17:43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채용비리에 전문 브로커가개입된 것으로 확인되고 `권력형 청탁자' 명단이 확보되는 등 이번 사건이 단순 개인비리 차원을 넘어 조직적 채용비리 사건으로 비화되고 있다.

특히 대검이 `채용비리'에 대한 수사지휘체계를 형사부에서 중수부로 전환함에따라 다른 작업장으로 수사가 확대될지 주목된다.

채용비리 브로커 존재 확인 = 광주지검 김상봉 차장 검사는 26일 "취업 청탁자로부터 돈을 받아 광주공장 인사 담당직원 A씨에게 수천만원의 돈을 전달하면서 취업 청탁을 한 브로커 B씨를 붙잡아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오늘 오후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검찰은 B씨로부터 돈을 받은 A씨의 신병을 확보, 돈을 받게 된 경위와 이돈이 인사담당 라인을 통해 상관에게까지 전달됐는지 여부에 대해 집중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B씨는 현대.기아차 그룹의 계열사 직원으로, 지난해 5-6월 복수(4-5명)의 취업 청탁자로부터 돈을 받은 뒤 A씨에게 돈을 전달했으며 B씨에게 취업을청탁한 사람들은 채용 부적격자들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광주공장 채용 비리 사건에 브로커가 개입돼 있다는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수사는 노조지부장 개인 비리 차원을 넘어 광범위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이며 B씨외다른 브로커 개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수사는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청탁자 명단 확보 검찰은 이에 앞서 회사에 소위 줄을 대고 인사청탁을 한 외부 청탁자 명단을 확보한 것으로 밝혀졌다.

명단에는 노조 간부와 회사 임원은 물론, 장관급을 비롯한 고위인사와 정치인,자치단체장, 광역의원, 경찰서, 노동청, 구청 관계자 등 회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있는 공직자와 유력인사 등 100여명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향후 검찰의 수사방향에 따라 이번 사건이 `권력형 외압 청탁' 파문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없지않다.


이와 별도로 검찰은 지난주 광주공장과 본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인사.노무 관련 서류와 함께 지난해 입사한 생산계약직 사원 1천79명의 신상정보 등이 담긴 인사관리 파일을 확보했다.

이 파일중 26일 공개된 직원 132명의 인사파일 추천인에는 구속된 노조 정모(44)지부장과 부지부장, 대의원 등 노조원들의 이름과 정모 상무, 신모 팀장 등 회사 관계자 이름, 노동청 근로감독관, 구청 인력상담 공무원 등이 올라 있다.

이처럼 추천인이 있거나 면접과정에서 `사내외 유력인사와 관계가 있다'고 밝힌지원자들은 대부분 면접점수를 높게 받았고, 일부는 중간순위와 최종 합격순위가 턱없이 차이가 나 외부 청탁인사들의 `입김'이 작용했음을 뒷받침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현재 청탁자 명단이 담긴 것으로 보이는 컴퓨터 외장형기억장치(USB)를 확보해 정밀 분석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이 파일이 공개될 경우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대검 수사지휘체계 중수부로 변경 = 한편 대검은 이번 기아차 채용비리에 대한 수사지휘체계를 형사부에서 중수부로 전환했다.

대검 관계자는 "광주지검에서 하고 있는 채용비리 수사에 대한 보고체계가 어제(25일)부로 형사부에서 중수부로 바뀌었다"며 "이는 송광수 총장이 직접 지시해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대검이 이번 채용비리 사건의 지휘부서를 중수부로 전환한 것은 사안을 중대성을 감안, 광주지검의 수사가 한층 심도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검찰은 설명했으나 검찰 주변에서는 채용비리 사건이 기아차내 다른 공장이나 기업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전체

정치

사회

경제

지난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