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이수호 위원장은 3일 오전 영등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민노총의 (폭력사태) 상황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21일 차기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재신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집행부의 공약사항인 사회적 대화기구 추진건 등에 대해 표결조차 못하는 상황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무한 책임을 지는 위원장으로서 재신임을 통해 분명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은 1일 임시대의원 대회의 폭력사태에 대해 4일, 15일 중앙집행위원회와 중앙위원회를 각각 열어 진상조사와 재발방지책마련 등을 거쳐 21일 임시대의원대회를 다시 소집, 무산된 노사정위원회 복귀 여부를 결론지을 계획이다.
이 위원장은 "재신임이 결정되기 전까지는 스스로 근신하는 자세로 현장에서 조합원과 고민을 나누는 활동에 힘쓰면서 반성하는 시간을 갖겠다"며 "따라서 현재 민주노총의 중요한 집행에 대해서는 수석부위원장이 관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임시대의원대회에서의 폭력사태는 민주주의는 민주노총의 존립근거인만큼 다수 대의원의 권리를 박탈한 반조직적 행위"라며 "폭력을 자행한 것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
또 기아차 광주공장 노조의 채용비리와 관련, 민주노총은 비리에 개입한 간부를 각 해당조직에서 제명을 포함한 엄중한 징계를 내리고 간부행동강령, 내부 고발센터를 마련해 조직의 투명성과 도덕성을 높이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이 단체는 그러나 이같은 민주노총의 위기와 혼란을 틈 탄 정부와 국회의 비정규직 법안 강행기도는 노사정 관계의 '파국상황'이라고 규정, 단호히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