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주교인권위원회 등 인권단체 회원들이 지난 8일 오후 서울구치소 장영식 총무과장에게 항의 서한을 전달하고 있다.
|
[제2창간] 시리즈로 재발방지·치료 등 현실적 대안 제시
기자가 성폭력 사건을 다룰 때는 무척 조심스럽습니다. 자칫 선정적인 보도로 흘러, 피해자에게 또다른 아픔만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겨레>가 최근 잇따른 성폭력 사건을 보도하면서 해당 사건에 매몰되지 않고 성범죄 방지를 위한 다양한 대책과 피해자 보호 방안을 찾으려 노력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먼저 초등학생 성추행·살해 사건과 관련해 많은 기사를 내보낸 <조선일보>와 비교해 보면 <한겨레>의 다른 접근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미디어오늘>이 이주일의 신문기사로 뽑은 <한겨레> ‘성폭력 보도’ 기사
|
실망스러운 것은 초등학생 성추행·살해 사건에 흥분했던 언론 매체들이 대부분 이 사건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한겨레가 이 여성 재소자에게 심각한 성추행이 있었음을 확인해 보도(‘재소자 성폭행 수준 추행당했다’ 27일치 1면)한 뒤에야, ‘여성 재소자 성추행 은폐 의혹’(<조선일보> 28일치 6면), ‘법무부, 뒤늦게 성추행 개연성’(<중앙일보> 28일치 16면), ‘교도관이 여성 재소자 성추행’(<동아일보> 28일치 10면) 등의 기사가 마지못해 쓰는 듯한 크기로 실렸습니다. 한겨레는 이에 그치지 않고 ‘성추행 뺨친 무마·회유 압력’(3월3일치 1면), ‘성추행 입막으려 가석방 제안했다’(3월4일치 2면) 등의 기사로 사건의 실체를 파헤쳤고, 이는 3월7일 국가인권위원회의 직권조사 결과와 9일 법무부의 진상조사 결과에서 움직일 수 없는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또 이번 사건에서도 해당 사건에 매몰돼선 안 된다는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했습니다. ‘여성 재소자 인권보고서’라는 제목의 시리즈 기사(3월6~8일)를 통해, 여성 재소자들이 잦은 성추행에 노출되는 것은 물론 남성 위주로 짜인 교정시설의 일상생활에서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을 다각도로 조명했습니다. 한 여성의 아픔을 통해 그동안 감춰졌던 문제점이 드러나게 된 만큼, 우리 사회도 그 여성의 아픔을 동정하는 데 그치지 말고 현실의 변화를 이끌어냄으로써 그 아픔을 위로해야 한다는 게 한겨레 취재기자들의 소신이기도 합니다. 글 박용현/편집국 24시팀 piao@hani.co.kr 사진/편집국 사진팀 @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