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16 20:05 수정 : 2006.08.16 22:54

예산배정 미뤄져 한때 경영난…신인도 타격
언론단체 “정부, 인프라 구축 적극지원 나서야”

지난 5월 중순 강기석 신문유통원장은 한 저녁식사 자리에서 “사업하기 너무 힘들다. 직원들 월급도 주지 못할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같이 있던 사람들은 “너무 엄살을 부리는 게 아니냐”고 강 원장을 타박했다. 지난해 국회가 신문유통원(유통원)에 올해 1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사실을 다들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 원장의 얘기는 빈말이 아니었다. 현실로 나타났다. “5월에 20여명의 직원들이 월급을 받지 못했습니다. 사무실 임대비도 내지 못할 처지에 놓였어요.”(권선준 유통원 경영기획실장)

유통원은 올해 2월 100억원의 예산 가운데 9억5천만원만 지원받았다. 나머지 90억5천만원은 정부가 예산 배정을 계속 미뤄 6월 말이 돼서야 받을 수 있었다.

유통원은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전국적으로 공동배달센터(공배센터)를 만들어, 여러 신문들을 한데 모아 독자들에게 배달하는 일을 한다. 배달망이 없는 탓에 독자들이 보고 싶은 신문을 받아보지 못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는 것이다. 지국에 대한 중복 투자를 막고 배달의 효율성이 높아져, 신문사들로서도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올해 예산 100억원 가운데 공배센터 운영비(60억원)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나머지는 유통원 경상경비(13억원)와 유통 정보화 사업비(10억원) 등에 쓰인다.

유통원은 4월26일 서울 광화문에 첫 공배센터를 세웠고, 올해 안에 모두 55개의 공배센터를 만들 계획이었다. 16일 현재 광화문을 비롯해 서울 강남과 의정부 등 모두 10곳에서 공배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유진룡 문화관광부 차관 경질 사태를 계기로 유통원이 예산을 받지 못해 한때 경영난에 빠진 사실이 공개되면서, 유통원의 신인도에 금이 가게 됐다. 한 중앙일간지 판매국 관계자는 “신문사들과 지국들이 유통원에 관심이 있어도 그동안 적극적인 참여를 망설인 이유는 정부가 유통원을 제대로 지원할지 반신반의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화부는 지난 2일 내놓은 ‘언론 관계법 시행 1년 성과와 과제’ 자료에서 “유통원 사업이 부분적으로 예산 집행 차질과 시행착오가 있었으나, 사업 초년도임을 감안할 때 정상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언론단체들은 예산 문제야말로 공동배달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관건이며, 신문 판매시장의 정상화와 여론의 다양성 보장을 위해 정부가 유통원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제안한다.


신학림 언론노조 위원장은 “전국 곳곳에 신문 공동배달을 위한 인프라를 만들어야만 좀더 많은 신문사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 공동배달 사업이 자리를 잡을 수 있다”며 “문화부가 유통원 출범 과정에서 밝혔던 2010년까지 예산 1020억원을 확보하고 초기에 예산을 과감하게 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태섭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공동배달센터가 뿌리내리지 못한다면 독자들이 보고 싶은 신문을 받아보지 못하고 결국 한가지 목소리의 신문만을 구독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