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21 19:30 수정 : 2005.09.22 00:12

“이념 다툼 벗어나 상생해야 살아남을 것” 김영욱 책임연구원

최근 <위기의 한국신문> 공동으로 펴낸 언론재단 김영욱 책임연구위원

“앞으로 신문사 가운데 문 닫는 곳이 더 나올 것이고, 신문사들 간에 인수합병이 이뤄질 수도 있다. 오히려 그것이 신문시장의 미래를 위해 더 낫다고 본다. 다만 인수합병이 이뤄진다면 현재의 조·중·동 과점 체제를 강화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최근 한국언론재단에서 <위기의 한국신문>이라는 책을 공동으로 펴낸 대표저자 김영욱 한국언론재단 책임연구위원의 말이다. 그는 무엇보다 “비슷한 성격의 신문사 숫자가 너무 많은 것이 신문의 위기를 가중시키는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전국 종합일간지 10여개, 지방 종합일간지 70여개 등 80개가 넘는 종합일간지들이 같은 시장과 독자를 겨냥하다 보니 신문시장이 건전해질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신문시장을 살리는 한 방법이라고 김 연구위원은 진단했다.

똑같은 독자 비슷한 신문 시장 포화
뒤늦은 신문법 의미 있지만 한계도
다양한 차별화 합병 등 돌파구 찾아야

2년 전 언론재단에서 펴낸 비슷한 주제의 책 제목이 <신문의 위기?>였던 데 견주어 현재의 제목은 매우 단정적이다. 그만큼 신문의 위기가 분명하고 심각해졌다는 뜻이다. 그는 그동안 신문정책의 부재가 위기를 심화시켰다고 지적했다. “과거 정권은 언론을 권력 유지의 도구로만 생각했다. 신문이 갖는 사회적 기능을 어떻게 유지·발전시킬까 하는 생각이 없었다. 그런 면에서 이번에 마련된 신문법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 책의 공동 저자들은 신문법이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신문의 다양성과 신문시장의 균형을 확보하기 위한 직접·즉각적인 지원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대신 판매시장 질서나 취재 환경의 개선, 광고시장의 합리화 등 간접 지원을 통해 시장을 장기적으로 바꿔나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김 위원은 “앞으로 한 세대 뒤에도 신문이 살아남기는 할 것이다. 그러나 북유럽 국가에서는 아직도 신문이 제1의 미디어이지만, 프랑스나 이탈리아에서는 신문의 위상이 이미 추락했다. 미래 신문의 위상은 현재 신문 종사자들의 손에 달렸다”며 신문인들의 경각심을 촉구했다.

김 위원은 신문이 살아남아서 걸맞은 기능을 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 “신문사들이 이제는 공동 생존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예를 들면 중복되는 인터넷 영역이나 섹션에서는 몇개 신문사가 함께 신문을 만들 수도 있고 인수합병을 통해 좀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념을 둘러싼 극심한 대결을 넘어 협력할 것은 해야 한다”고 상생의 경영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신문의 위기 타개를 위해 그도 역시 ‘다양화’와 ‘차별화’를 강조한다. “각각 여성, 젊은층, 노년층, 엘리트, 노동자 등을 핵심 독자 상대의 신문을 만들어야 한다. 또 신문 내용에서도 낡은 정치·경제에만 집중하지 말고 독자층의 요구에 따른 뉴스 비중의 조정이 필요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