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0.31 18:40 수정 : 2005.10.31 18:40

“시장 지켜야 신문업계 모두가 산다” 신문유통원 강기석 초대원장

“시장 지켜야 신문업체 모두가 산다”

“신문유통원은 지금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이른 시일 안에 온전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면 중소형 신문사부터 시작해 시장 자체가 무너져버릴 수도 있습니다. 가능한 한 유통원 설립과 활동 시기를 앞당길 생각입니다.”

1일 공식 출범하는 신문유통원의 강기석(51) 원장은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 보장에 관한 법률’(신문법)이 시행된 7월28일 이후 석 달 동안 마음이 답답했다고 한다. 여론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한시가 급한 유통원이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강 원장은 내년 4월로 예정된 유통원 직영센터들의 개소 시기나 전국 센터망 건설(2010년) 시기를 하루라도 당겨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직영센터·전국 센터망 서둘러
100억원 예산 터무니없이 부족
기사 헐값 제공 ‘바보짓’ 그만

유통원과 관련해 큰 논란을 빚은 대목은 규모나 예산과 관련된 것이었다. 9월말 기획예산처는 문화관광부가 넘긴 신문유통원 예산 150억원을 100억원으로 줄였다. 애초 언론노조와 단체들은 300억~500억원을 요구해왔다. 강 원장은 신문유통원의 운영을 “처음에 몰아치는 돈오점수식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기에 예산과 노력을 쏟아 부어야 각 신문사 본사와 지국들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래야 짧은 기간 안에 신문유통원도 자리 잡고 사정이 어려운 신문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그래서 100억원의 예산은 터무니없이 부족하게만 느껴진다는 것이다. 강 원장은 먼저 국회와 기획예산처 등에 이 사업과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유통원과 관련해 또 다른 뜨거운 지점은 이른바 ‘조·중·동’의 참여 문제다. 현재까지 조중동은 유통원에 대해 부정적 보도를 쏟아냈으나, 유통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중동이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걸림돌인 동시에 필요조건인 셈이다. 강 원장은 “이 문제를 정치적 시각에서 보면 신문사들 간에 의견이 갈릴 수 있으나, 경영 차원에서 보면 모든 신문사에게 유익한 것”이라며 “규모가 클수록 이득은 더 커질 것이므로 조중동이 냉정하게 판단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유통원 설립을 공·사 매칭펀드(공동출자) 방식으로 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으나, 신문사들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강 원장은 유보적이었다. “여력이 있다면 자본을 대고 참여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중소형 신문사들이 재정 여건상 출자를 못한다고 해서 유통원 참여를 막기는 어렵지 않겠습니까. 정부와 각 신문사들을 만나 해법을 찾아보겠습니다.”

강 원장과 유통원의 인연은 1989년 전국언론노동조합연합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선전실장으로 <언론노보>의 편집장을 맡았던 강 원장은 민간 주도의 신문배달회사를 세워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이를 검토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는 그 책임자가 돼 신문시장의 사활을 어깨에 짊어지게 됐다.

“신문시장이 축소되는 원인은 신문사들이 자초한 것입니다. 인력과 비용을 들여서 취재한 고급 정보를 왜 포털과 무가지에 헐값에 넘겨줍니까? 공짜로 볼 수 있는 것을 왜 사람들이 돈을 내고 보겠습니까? 스스로가 생산한 제품의 가치를 헐값에 넘기는 바보짓은 이제 그만해야 합니다.”


글·사진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