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지켜야 신문업계 모두가 산다” 신문유통원 강기석 초대원장
|
“시장 지켜야 신문업체 모두가 산다”
“신문유통원은 지금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이른 시일 안에 온전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면 중소형 신문사부터 시작해 시장 자체가 무너져버릴 수도 있습니다. 가능한 한 유통원 설립과 활동 시기를 앞당길 생각입니다.” 1일 공식 출범하는 신문유통원의 강기석(51) 원장은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 보장에 관한 법률’(신문법)이 시행된 7월28일 이후 석 달 동안 마음이 답답했다고 한다. 여론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한시가 급한 유통원이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강 원장은 내년 4월로 예정된 유통원 직영센터들의 개소 시기나 전국 센터망 건설(2010년) 시기를 하루라도 당겨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직영센터·전국 센터망 서둘러100억원 예산 터무니없이 부족
기사 헐값 제공 ‘바보짓’ 그만 유통원과 관련해 큰 논란을 빚은 대목은 규모나 예산과 관련된 것이었다. 9월말 기획예산처는 문화관광부가 넘긴 신문유통원 예산 150억원을 100억원으로 줄였다. 애초 언론노조와 단체들은 300억~500억원을 요구해왔다. 강 원장은 신문유통원의 운영을 “처음에 몰아치는 돈오점수식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기에 예산과 노력을 쏟아 부어야 각 신문사 본사와 지국들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래야 짧은 기간 안에 신문유통원도 자리 잡고 사정이 어려운 신문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그래서 100억원의 예산은 터무니없이 부족하게만 느껴진다는 것이다. 강 원장은 먼저 국회와 기획예산처 등에 이 사업과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유통원과 관련해 또 다른 뜨거운 지점은 이른바 ‘조·중·동’의 참여 문제다. 현재까지 조중동은 유통원에 대해 부정적 보도를 쏟아냈으나, 유통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중동이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걸림돌인 동시에 필요조건인 셈이다. 강 원장은 “이 문제를 정치적 시각에서 보면 신문사들 간에 의견이 갈릴 수 있으나, 경영 차원에서 보면 모든 신문사에게 유익한 것”이라며 “규모가 클수록 이득은 더 커질 것이므로 조중동이 냉정하게 판단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유통원 설립을 공·사 매칭펀드(공동출자) 방식으로 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으나, 신문사들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강 원장은 유보적이었다. “여력이 있다면 자본을 대고 참여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중소형 신문사들이 재정 여건상 출자를 못한다고 해서 유통원 참여를 막기는 어렵지 않겠습니까. 정부와 각 신문사들을 만나 해법을 찾아보겠습니다.” 강 원장과 유통원의 인연은 1989년 전국언론노동조합연합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선전실장으로 <언론노보>의 편집장을 맡았던 강 원장은 민간 주도의 신문배달회사를 세워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이를 검토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는 그 책임자가 돼 신문시장의 사활을 어깨에 짊어지게 됐다. “신문시장이 축소되는 원인은 신문사들이 자초한 것입니다. 인력과 비용을 들여서 취재한 고급 정보를 왜 포털과 무가지에 헐값에 넘겨줍니까? 공짜로 볼 수 있는 것을 왜 사람들이 돈을 내고 보겠습니까? 스스로가 생산한 제품의 가치를 헐값에 넘기는 바보짓은 이제 그만해야 합니다.”
글·사진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