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민주주의·여론 다양성의 핵” 장행훈 초대 위원장
|
1일 출범 신문발전위원회 장행훈 초대 위원장
“신문은 민주주의를 위해서 존재하는 것입니다. 신문 부수가 계속 줄어들더라도 민주주의를 위해 존재할 가치가 있다면 지원해야 합니다. 요즘 모든 게 디지털화하고 있지만, 민주주의를 위해서는 생각과 판단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난 31일 신문발전위원장으로 선임된 장행훈 위원장은 7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신문은 민주주의를 위해 존재한다”는 발언을 수차례 되풀이했다. 그것은 ‘신문’뿐 아니라, ‘신문발전위원회’에도 적용돼야 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면 과연 신문위는 어떻게 신문과 민주주의를 진작하고 고양시킬 것인가. 장 위원장 자신은 <동아> 편집국장 출신이지만, 그는 신문위의 목적이 조·중·동의 여론 독과점을 견제하기 위한 성격이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조중동’ 여론 독과점 개선해야방법은 다른 매체 지원이 바람직
신문유통원 지원도 가능할 것 “여론 다양성을 보장한다는 말은 조중동의 여론 독과점 상황을 개선한다는 뜻입니다. 다만 그 방식은 조중동의 여론을 억지로 줄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론을 대변하는 매체들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여론이 더 잘 유통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런 지원은 민주주의를 증진시킬 것입니다.” 장 위원장에게 민주주의와 여론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문위가 어떤 활동을 벌일지를 물어봤다. 장 위원장은 “신문사들이 현대화하기 위해 공동으로 필요한 인프라를 갖추는 데 지원을 집중할 것”이라며 “윤전기나 편집 하드웨어, 기사 송수신 시스템, 공용 서버 등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신문위는 내년 예산으로 250억원을 지원받았으며, 지역신문위도 250억원 가량을 지원받았다. 그러나 신문사들의 공동배달망을 구축하기 위한 신문유통원은 이보다 훨씬 적은 100억원의 예산을 확보했을 뿐이다. 그래서 언론단체나 언론노조 등은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보장에 관한 법률’의 근거조항에 따라 신문위가 유통원에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왔다. 이에 대해 장 위원장은 “유통원의 일은 신문산업 발전이나 여론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아직 지원 금액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으나 필요하다면 기준을 세워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현재 신문위, 지역신문위, 신문유통원, 한국언론재단 등 4개 신문 관련 단체가 활동하게 된 점에 대해서는 “프랑스의 경우처럼 신문 관련 기구들이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언론에서 그런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해나갔으면 좋겠다”며 말을 아꼈다. 한나라당과 보수 언론들의 반대로 누더기가 된 신문법의 개정에 대해서도 장 위원장은 에둘러 의사를 표현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신문사 편집위원회 구성을 법으로 정해놓았으며, 신문들이 자신들의 신문 제작 정책 방향까지도 다 밝히도록 돼 있습니다. 신문들의 제작 방침을 밝히는 것은 신문의 정직성·투명성을 높이므로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다만 신문사의 소유 지분 제한 문제는 언론 철학의 문제고 나라마다 현실이 달라 뭐라 말하기 어렵습니다.”
글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사진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