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뉴스 서비스 개편안’ 논란
네이버 플랫폼서 발생 광고수익 배분
언론사 규모·구독자 수 따라 격차
기사 중간에 광고·자체 영업 허용도 제휴사 길들이기 유리한 전략
불투명한 ‘전재료’ 해결 긍정적이나
언론사 광고영업 생존경쟁 인한
뉴스 콘텐츠 하청업자 전락 우려 실검·댓글 논란 더 격화 가능성
조회수 늘리려 선정적 기사 불보듯
포털, 저널리즘 가치 외면 목소리
“언론사 디지털 전략 없으면 당해” ■ 네이버, 전재료 대신 광고 수익 배분 네이버는 지난 12일 제휴 언론사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어 “지난 2년간 진행해온 언론사 구독 모델을 통해 구독자 수 1500만명, 구독 건수는 7100만건에 이르렀다”고 공개했다. 네이버는 이런 ‘언론사 구독’ 증가를 바탕으로 언론사에 지급했던 전재료를 없애고, 네이버 플랫폼에서 생기는 광고 수익을 언론사에 배분하는 식으로 수익 모델을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전재료는 포털이 1990년대 후반부터 언론의 지식재산권인 뉴스 콘텐츠에 지급해온 돈으로, 시작부터 ‘헐값’ 논란이 있었다. 이는 ‘디지털 뉴스는 공짜’라는 인식을 광범위하게 퍼뜨려 유료 모델 구축에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또 신문·방송·통신 등 플랫폼과 매체에 따라 대가가 달라 기준이 모호하고 불투명하다는 비판과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김진규 네이버 홍보부장은 “70개 넘는 언론사와 1년 내내 개별 협상을 해왔는데 매우 소모적이다. 이런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학계와 지표를 개발해 수익 모델을 변경한 것”이라고 밝혔다. 지표는 구독 모델 기반으로 순 방문자 수, 조회수, 사용자 충성도, 유효 소비기사 수 등 기사의 정량·정성적 요소를 활용한다. 언론사 규모와 브랜드 파워, 구독자 수 등에 따라 수익 격차가 나타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네이버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현재 ‘언론사 홈’과 ‘기사 본문 하단’에 붙는 광고에 이어 기사 본문에 중간광고도 허용하기로 했다. 광고 직접 영업권은 언론사에 넘긴다. 이 밖에 언론사의 뉴스 편집권도 확대하고, 열독률 지표 등 이용자 관련 정보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언론사 “생존경쟁 내몰리고 뉴스 하청업자 전락” 하지만 네이버의 이런 정책은 비용은 줄이면서도 제휴사를 길들이는 데는 유리한 전략으로, 언론사의 포털 의존도를 가중할 뿐 아니라 뉴스의 품질은 떨어뜨릴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송경재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교수는 “불투명한 전재료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다소 긍정적인 부분이 있다. 하지만 언론사들이 광고 영업을 통한 생존경쟁을 벌이는 동안 자사 플랫폼은 쇠퇴하고 결국 네이버에 뉴스 콘텐츠를 납품하는 하청업자로 전락하는 등 포털 종속성은 더 심화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네이버가 뉴스라는 ‘미끼 상품’의 경쟁력을 높여 쇼핑 등에서 더 많은 부가가치를 올리면서도 뉴스의 가치는 제대로 평가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내 최대 뉴스 플랫폼인 네이버가 공론의 장을 독점하면서도 저널리즘 가치에 대한 고민은 부족하다는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이 쏟아지는 이유다. 박상호 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실장은 “네이버가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오티티와 경쟁하는 상황에서 나온 ‘눈 가리고 아웅’ 식의 개편안으로, 앞으로 언론사의 포털 종속은 더 심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광고 배분 방식을 둘러싸고 뉴스 공정성 저하를 우려하는 견해도 나온다. 황용석 건국대 교수는 “광고 실적에 따라 매체 간 양극화가 불가피하다. 결국 경쟁이 격화되면 기사와 광고를 맞바꾸는 부당 영업으로 저널리즘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이 훼손될 가능성도 있다”고 비판했다.
네이버가 밝힌 수익 배분 지표와 모델. 네이버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