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인권기념관’으로 바뀌게 될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이 17일 언론에 공개돼, 기자들이 박종철 열사가 고문을 받고 숨진 취조실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이정용 기자 lee312@hani.co.kr
|
박종철 고민치사 악명 2006년6월까지 개조작업
과거사규명위 입주키로
민주인사들에 대한 고문과 인권 유린의 상징인 ‘남영동 대공분실(보안분실)’이 ‘인권기념관’으로 다시 태어난다. 남영동 분실은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사건과 1985년 당시 민청련 의장이던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 등에 대한 고문으로 악명을 떨친 곳이다.경찰청은 17일 경찰청 보안국 보안3과 사무실로 이용되고 있는 서울 용산구 갈월동 남영동 보안분실을 가칭 ‘경찰 인권기념관’으로 바꾸기로 하고 내년 6월 개관을 목표로 개조 작업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곳에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인사들의 추모공간을 마련하고 인권과 관련한 전시관, 인권 관련 신고와 상담을 하는 ‘인권보호센터’도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달 말까지는 우선 인권보호센터와 경찰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를 입주시키기로 했다.
이에 앞서 경찰은 남영동 분실을 쓰고 있는 보안3과를 서울 홍제동 분실로 옮겨 3과와 4과를 통폐합하기로 했다.
1976년 10월 설치된 것으로 알려진 남영동 분실은 대공 업무를 표방하면서 독재정권 시절 민주화운동가들을 불법구금하며 물고문과 전기고문 등 가혹행위를 일삼은 장소로 알려져 왔다. 대표적인 것이 1987년 1월 남영동 분실 509호에서 물고문을 받다 숨진 박종철(당시 22살)씨 사건이다. 15일 재심 결과 간첩죄를 벗은 함주명(74)씨도 1983년 이 곳에서 45일 동안 ‘고문 기술자’ 이근안씨한테서 물고문과 전기고문 등을 받은 끝에 고정간첩으로 둔갑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남영동 분실 폐지는 경찰의 과거사 진상규명 노력과 경찰 창설 6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이라며 “경찰과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인권 상징 시설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