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버이날인 지난 8일 서울시 용산구 구립용산노인전문요양원에서 해방어린이집 아이들이 장구를 연주하고 있다.
|
박복만씨 부부 요양원 1년 살아보니
어버이날이었던 지난 8일 서울시 용산구 구립용산노인전문요양원에 한 무리의 어린이가 들어왔다. 무표정하게 앉아 있던 노인들의 얼굴에 미소가 피어올랐다. 해방어린이집 아이들은 선생님의 신호에 맞춰 장구를 두드리기 시작했다. 그들이 만들어낸 파동에 조용하던 요양원이 들썩거렸다.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노래에 맞춰 율동까지 선보인 아이들은 노인에게 다가가 카네이션이 달린 카드를 내밀었다. 남편 박복만(87)씨와 나란히 앉아 있던 김재덕(79)씨는 자신에게 카드를 준 아이를 꼭 안아주었다. 김씨는 “삐뚤빼뚤한 손글씨로 ‘할아버지, 할머니, 건강하세요’라고 썼는데 고맙고 사랑스러워서 안아줬다”며 “요양원에 있으면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실습생과 자원봉사자들도 많이 와서 심심할 틈이 없다”고 말했다. 김현주 간호부장은 “실습생이 오면 직원들은 챙겨야 할 일이 늘어나기 때문에 귀찮은 면도 있지만, 어르신들이 ‘친손주보다 낫다’고 할 정도로 좋아하셔서 적극적으로 받고 있다”며 “친손주들이 요양원에 오면 어르신께 인사만 하고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어린이들이 떠나가자 흥이 남아 있던 김재덕씨는 옆에 앉은 할머니 한 분과 ‘울려고 내가 왔던가’로 시작하는 노래 <선창>을 함께 부르기 시작했다. 그는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남편이 1년 전에 입소한 뒤로 거의 매일 아침부터 저녁까지 여기서 시간을 보낸다”며 “직원분들이 가족처럼 잘해주셔서 내 집처럼 편안하다”고 말했다. 박씨 10여년전 파킨슨병 진단받아3년 전부터 병세 악화돼 대소변 장애 세 딸 모두 병구완 도왔지만 한계
아내 고집으로 요양원들 직접 답사
말만 ‘노인천국’ 직원교육 등 허술 구립요양원 대기 1년만에 입소
직원 3개조 24시간 근무, 일정 알차
“직접 보고 좋은 곳에 모시는 게 효도” 남편 박씨가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건 10여년 전이다. 약간의 집착증을 빼면 일상생활에 큰 무리는 없었다. 그러다 3년 전부터 병세가 갑작스럽게 나빠졌다. “남편이 소변을 자신도 모르게 지리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옷을 갈아입혀야 했어요. 어떤 날은 이불 여섯 채를 바꿔줬다니까요. 그런데 제가 몇 년 전 계단에서 넘어지면서 고관절 수술을 받아 지팡이를 짚고 다녀요. 남편까지 제대로 걷지를 못하게 되니까 생활이 너무 힘든 거예요.”(김재덕씨) 부산에 살던 막내딸이 집으로 들어와 병구완을 도왔다. 나머지 두 딸 모두 집 근처에 모여 살며 힘을 보탰다. 그러나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딸들이 아빠 알몸 보는 걸 힘들어했어요. 남편이 대소변을 못 가리는데, 목욕부터 옷 갈아입히는 것까지 내가 할 수밖에 없잖아요. 밤에도 수시로 그러니 잠을 잘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하루는 화장실에 가보니 벽에 대변을 칠해 놓고는 바닥에 누워 있더라고요. 집에는 아무도 없고 다리가 성치 못한 나 혼자 감당할 엄두가 안 났어요. 민망함을 무릅쓰고 이웃에 도움을 청해 겨우 수습했습니다. 살아있을 때까지는 내가 돌봐야겠다 마음먹었는데 도저히 안 되겠더라고요. 그래서 요양기관에 모시자고 얘기했죠.” 딸들은 반대하고 나섰지만 김씨는 “내가 죽기 전에 아버지가 먼저 죽으면 다행인데, 혹여나 내가 먼저 죽으면 어떡할 거냐”며 밀어붙였다. 요양원을 알아보니 구립용산노인전문요양원 등 몇몇 요양기관은 정원이 다 차서 대기신청만 가능했다. 요양원의 특성상 언제 자리가 날지 기약할 수도 없었다. 당장 입소가 가능한 요양기관에 직접 가보니 영 마음에 안 들었다. “개인이 운영하는 곳이 많았어요. 시설도 시설이지만 직원 교육이라든지 근무 시스템이 엉성해 보였어요. 라디오에서 ‘노인천국’이라고 광고하던 요양원도 가봤는데 천국은 무슨 천국…. 함께 갔던 큰딸이 ‘이런 곳에 아버지를 모실 수 없다’고 하고, 어찌해서라도 내가 끝까지 모셔야겠다 싶어 그냥 집에 왔어요.”
|
박복만(왼쪽)·김재덕 부부가 어린이에게 받은 카네이션 카드를 자랑하고 있다.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