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원효로 박종철기념사업회 사무실에서 만난 고 박종철 열사의 친형 박종부씨가 동생의 얼굴이 그려진 그림 앞에서 웃고 있다. 박종철 열사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외피를 깨고 나오는 모습의 이 그림은 신학철 화백이 1987년 10월 민족미술협의회에서 주최한 ‘반고문전’ 전시회에 출품한 작품 <부활>이다.
|
“정권 입맛 따라 파행·갈등 불가피” ‘시민사회 운영권’ 국민청원 발의
영화 ‘1987’ 흥행에 방문객 급증세 “저세상 가서 동생 떳떳히 만나려”
14일 ‘박종철 31주기’ 추모식 ‘분주’ “동생의 죽음 전후 저의 삶은 분명 다릅니다. 하지만 제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며 지난 31년을 살아왔습니다.” 그는 “1987년 1월15일 동생의 사망 소식을 들은 날을 어떻게 잊겠냐”며 이렇게 덧붙였다. “동생의 죽음으로 큰 슬픔을 느꼈지만, 맡은 일을 충실히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당시 재직했던 직장을 2009년까지 계속 다녔고 가장의 역할에도 충실했죠.” 영화관에서 피어난 열기는 영화의 배경이 되는 옛 남영동 대공분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공분실에 마련된 경찰청 인권센터 방문객은 2011년 이후 하루 평균 10명 남짓에 그쳤지만, 영화가 개봉한 지난달 27일부터 2주 동안은 550여명의 시민들이 찾았다. 박 이사는 “시민들 발걸음이 늘어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역사적 의미가 큰 공간을 경찰이 제대로 운영하지 않고 있는 점은 아쉽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우선 경찰에서 대공분실 내부 시설에 대해 잘못된 설명을 하는 등 공간의 의미를 왜곡하거나 축소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했다. 박 이사는 “연행자한테 위치 등을 헷갈리게 하기 위해 나선형으로 만들어진 계단이 단순한 소방용 계단이라고 설명하는 등 공간이 가진 의미를 제대로 알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단순히 민주열사 유가족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문제가 아니라 현대사의 의미를 왜곡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경찰은 박근혜 정부가 집권한 해인 2013년에는 사업회 쪽이 요청하는 주말 관람을 막기도 했단다. 이런 이유로 그와 사업회는 ‘남영동 대공분실을 시민의 품으로!’라는 청원을 청와대에 제기했다. “박종철기념관이 경찰이 운영하는 대공분실에 있는 걸 보면서 ‘종철이는 죽어서도 경찰 손아귀를 못 벗어나는구나’라는 생각에 항상 가슴이 아팠어요.” 그는 “남영동이 아닌 다른 곳에 기념관을 만들면 차라리 속이 편하겠지만, 대공분실이라는 공간이 가진 의미를 생각해서 경찰과 마찰을 빚더라도 여기 있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 버텼다”며 눈물을 훔쳤다. 이어 “경찰이 운영주체로 있는 한 정권에 따라 갈등이 반복될 수 있을 것”이라며 청원이 꼭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생의 31번째 기일을 맞이하는 그의 가장 큰 바람은 “경찰이 죽인 박종철을 경찰이 기념하는 기막힌 상황을 바로잡는 것”이다.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통을 받았던 수많은 민주인사, 학생, 조작간첩들의 고통을 기억하고 인권과 민주주의를 교육하는 장소로 재탄생시키고 싶어요. 경찰 손에서 종철이를 풀어줘야, 나중에 저 세상에서 동생을 만나도 떳떳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4일 오전 11시 대공분실 509호실에서 열리는 31주기 추모식에서는 동생의 이름을 딴 장학금도 전달한다. 글·사진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