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대통령의 한마디에…오락가락 교육정책
    이른바 ‘조국 사태’가 벌어진 뒤 문재인 대통령이 꺼내는 말 한마디 한마디에 교육정책이 출렁거리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교육 공정성’과 관련해 정책의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상...
    2019-10-23 19:21
  • 집 만들어 ‘두번째 인생’ 시작해볼까?
    예비 건축주·공유 숙박 창업 관련 특강 열려한겨레교육에서 ‘세컨드 라이프’를 준비하는 이를 위한 특강을 마련했다. 두 강좌 모두 마감 정원 초과 신청으로 진행하게 된 앵콜 특강이다. 특...
    2019-10-23 18:35
  • OECD 교육국장 “한국 대입, 많은 부담 초래…현 체제 오래 지속못해”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국장이 23일 “대학 입시체제가 한국에 많은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며 “현재의 교육 체계는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시 ...
    2019-10-23 16:56
  • 통폐합 반대 1만여명, ‘혁신’ 송정중 지켰다
    “폐교 반대 운동을 시작할 때 가능성은 0이었죠. 우리는 단지 이 모든 일이 시작부터 잘못됐다는 사실만 알고 있었을 뿐입니다.”서울 강서구 송정중학교의 학교운영위원장인 이기연씨는 22일...
    2019-10-22 18:59
  • 정시-수시 비율 해묵은 논쟁 불붙어 교육계 “정시 확대, 공정성 확보 아냐”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정시 비중 상향”을 언급한 데 대해, 교육계에서 “정시 확대는 공정성 확보 방안이 될 수 없다”며 강한 반발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교육개혁 방향...
    2019-10-22 12:43
  • 서울 대규모 사립대법인, 혜택은 크게 누리고 대학 지원은 ‘찔끔’
    서울 지역 대규모 사립대들이 전국에서 가장 비싼 수준의 등록금과 가장 많은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도, 법인전입금 비율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혜택은 집중적으로 받으면서도 ...
    2019-10-22 00:43
  • 예상 질문 마인드맵 그려보면 면접이 쉬워진다
    최근 대학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둘러싸고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애초 학생의 전공 적합성과 역량을 입학 단계부터 반영하려고 도입했지만, ‘금수저 전형’이라는 말도 심...
    2019-10-21 18:34
  • “아이들·교사와 소통하는 데는 유튜브가 최고죠~”
    유튜브가 뉴미디어의 대세가 됐다. 어린이에서부터 노인까지 전 세대가 유튜브를 즐겨 하지만, 청소년층에서는 검색도 유튜브에서 할 정도로 선호도가 특히 높다. 교육계는 보수적인 면이 강...
    2019-10-21 18:34
  • 두 번 상처받는 자해 아이들
    “어쩌다 들켰는데, 어디서 이런 짓을 하냐며 엄청 두들겨 맞았어.”“난 알고도 아무 말 안 하던데? 그냥 못 본 척 무시하던데?”“당황해서 어쩔 줄 몰라 하더니, 다음 날 정신과에 문의하고 진...
    2019-10-21 18:11
  • 우리 아이 ‘디지털 걸음마’ 어떻게 도와줄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청소년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유아부터 노년 세대까지 전 연령이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자, 경험해야 하는 평생학습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특히 미디어를 접하...
    2019-10-21 18:0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