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2.24 19:08
수정 : 2006.02.24 19:08
“사실 인권운동 하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인권을 보호하기가 제일 어렵다고들 해요.” 한 인권단체에서 3년째 일하고 있는 상임활동가는 이렇게 자조 섞인 한탄을 했다. 최근 들어 인권단체가 제기하는 지적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일부 시민들의 감정적 비판이 도를 넘은 경우가 많은 탓이다.
인권실천시민연대 등 인권단체들은 최근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초등생 살해·유기 사건과 관련해 인권 문제를 제기했다. 정치권이 내놓은 ‘야간 통행 제한’ ‘전자팔찌’ 대책에 대해 “또다른 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한 것이다. 어린이 성폭행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사안이기는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칫 또다른 인권침해가 있어서는 안 된다는 걱정 때문이었다.
하지만 인권단체들의 이런 지적은 일부 시민과 누리꾼들의 분노에 불을 댕겼다. 인권단체들의 인터넷 게시판에는 항의와 비판의 글이 폭주하기 시작했다. 대부분 “피해자가 속출하는 한국의 현실은 가해자 인권을 챙길 만큼 한가하지 않다”는 논리를 담고 있다.
이 정도면 그런대로 참고 넘길 만하다. 입에 담지 못할 폭언과 저주의 글도 넘쳐난다. 인권단체를 향해 “성폭력 범죄자의 집합소”라고 매도하는가 하면 “네 딸도 당해 봐라”라는 저주까지 등장했다. 특히 언론과 인터뷰한 활동가들의 경우 이름까지 거론되며 호된 인신공격을 받고 있다. 일종의 사이버 테러인 셈이다.
인권단체 활동가들은 이런 비판에 대해 “이제는 면역이 됐다”고 말한다. “여론의 무서운 흐름을 알기 때문에 성명서를 내는 데도 용기가 필요하다”고 이들은 말한다. 그동안 국가권력의 횡포로부터 시민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앞장서 싸워온 인권단체들이 역설적이게도 ‘감정’에 휩쓸린 일부 시민들과 맞서는 씁쓸한 형국인 셈이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