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대나무 마디에 알 낳기…개구리의 새 번식 전략 발견
짝짓기를 한 개구리가 물속에 알을 낳은 뒤 떠나면 알에서 깨어난 올챙이가 자라 어린 개구리가 되어 뿔뿔이 흩어진다. 우리가 아는 개구리의 번식 방법이다. 그러나 모든 개구리가 이렇게 번식하는 건 아니다. 어떤 개구리는 땅 위...
2014-11-04 19:48
한반도는 빙하기 야생동물의 피난처였다
너구리, 다람쥐, 참개구리 등 한반도서 춥고 건조한 빙하기 피했다 다시 확산유전자 분석 이용한 계통생물지리학 연구로 진화 수수께끼 속속 풀려 ▷ 한겨레 환경생태 전문 웹진 ‘물바람숲...
2013-09-25 15:20
100년 동안 박물관 보관 표본, 신종 육식동물로 밝혀져
▷ 물바람숲 기사 더 보기 남아메리카 북서부 안데스산맥 고산지대에는 운무림이 펼쳐져 있다. 열대지역이지만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 구름이 안개처럼 숲을 감싸는 이곳에는 독특하게 진화...
2013-08-19 15:40
흑두루미 '휴게소' 천수만 북적북적
흑두루미의 이동을 관찰하기 위해 지난 3월16일부터 22일일까지 천수만에 머물렀다.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쪽 모래톱이 다 없어지면서 3년 전부터 이곳을 찾는 흑두루미들이 크게 늘고 있다...
2013-03-28 15:53
남한강 4대강 준설 지점 재첩 대량 폐사
4대강 사업을 하면서 모래를 쳐낸 남한강 구간에서 민물조개인 재첩이 대량으로 폐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시민단체가 꾸린 ‘4대강 조사위원회’와 ‘4대강 복원 범국민대책위원회’는 26일...
2013-03-27 17:27
하늘다람쥐는 인공 새집을 좋아해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1년 덕유산 국립공원에 조류 관찰용 인공 둥지 25개를 설치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박새나 곤줄박이가 언제 산란하는지를 관찰하려던 목...
2013-03-26 18:03
‘죽음의 땅’에 남겨진 개·고양이의 눈망울엔…
후쿠시마에 남은 개와 고양이의 눈망울엔 그리움이 있었다비정상 핵발전 사회를 바꾸지 않는 한 이런 고통 계속 돼 〈후쿠시마에 남겨진 동물들 -‘죽음의 땅’ 일본 원전 사고 20킬로미터 ...
2013-03-25 17:24
‘황소개구리 먹성’ 앞에서는 전갈 독침도…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황소개구리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이 크기로 악명 높은 외래종이다. 하지만 북미에서도 자생지인 미국·캐나다의 동부와 남부를 뺀 나...
2013-03-22 15:41
이빨·입·눈 없는 ‘좀비벌레’, 최고의 만찬은 ‘고래 뼈’
이빨은커녕 입도 없고 눈도 없지만 고래의 뼈를 녹여 그 속의 영양분을 섭취하는 심해 생물이 있다. ‘좀비 벌레’란 이름으로 불리는 이 생물은 2002년에야 처음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환형동...
2013-03-14 16:12
달려나가다 뒤돌아봤다, “고마워요”
지난 두달 동안 구조 야생동물 16마리 방생 동영상 모음농약 중독 일찍 발견되면 회복 쉬워, 총상은 방생 전무 올 1월과 2월은 작년 같은 기간에 견줘 2배 가까운 동물이 구조되어 하루...
2013-03-13 15:30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
2
3
4
5
6
7
8
9
1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