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많던 ‘국민 생선’ 명태는 다 어디로 갔나
- [물바람숲] 바로가기
■ 서민의 밥상을 풍성하게 해주었던 명태
손발이 꽁꽁 얼 것 같은 찬바람이 부는 겨울, 직장 동료들과 퇴근길에 소주 한잔하러 주점가를 기웃거리다 보면 우후죽...
- 2013-01-09 15:15
-
- 북극해가 고향인 큰바다사자, 제주서 죽은 이유가…
- 지난해 1월 제주 서해안의 작은 섬 비양도에서 큰바다사자 한 마리가 암초에 앉아 쉬고 있는 모습이 목격됐다. 그러나 두 주 뒤 이 해양포유동물이 다시 발견되었을 때는 안타깝게도 죽은 상...
- 2013-01-07 15:06
-
- 천수만 황새 부부, 원초적 몸짓의 미학
- 해마다 천수만을 찾아오는 황새 부부가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와 겨울을 나고 있다.
천수만은 겨울철새가 가장 많은 곳의 하나였지만 예전보다 잠수성 오리와 수면성 오리들의 다양성이 무...
- 2013-01-02 15:27
-
- 공작이 짝짓기 직전 소리지르는 이유
- 공작 수컷이 화려하고 거창한 깃털을 가진 이유는 널리 알려져 있다. 자신의 건강과, 그런 거추장스러운 몸으로도 너끈히 천적을 피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암컷에게 과시하는 것이...
- 2012-12-27 16:11
-
- 거대 ‘괴물 메기’ 물 밖 비둘기를 한입에…
- 프랑스서 거대 메기 떼지어 물가 비둘기 떼 노려, 28% 공격 성공률 동유럽서 온 외래종의 새로운 식성…한국 온 배스도 포식성 강화
일부 범고래는 해변의 물개를 공격하느라 모래 위에 좌...
- 2012-12-11 14:59
-
- 남극 혹한 견디는 황제펭귄 비법은 ‘1분에 10㎝’
- 남극 겨울 혹한 집단적 '체온 나누기'로 버텨…원동력은 각자의 이기주의 밝혀져바람 등지고 기왓장처럼 밀착, 간헐적 이동이 파동처럼 무리 전체에 퍼져
수족관의 물고기가 떼지어 헤엄치...
- 2012-11-30 15:15
-
- 옷과 가구가 담배를 피운다? 3차 간접흡연
- 지난 8월말 캐나다 동부 몬트리올에서 열린 국제암학회의 석면세미나에 참석했다. 선진국인 캐나다가 자신들은 전혀 사용하지 않는 1급 발암물질 석면을 대량 채굴해서 아시아로 전량 수출하...
- 2012-11-29 14:56
-
- 남극 얼음속 소금호수, 외계생명체 단서 찾았다
- 수온 영하 13도, 바닷물보다 6배 짠 무산소 물에 ㎖당 60만마리 발견화성, 유로파 등 물 발견된 행성에도 생물 생존 가능성 커져
산소도 햇빛도 없고, 영하 13도에 바다보다 6배나 짠 물,...
- 2012-11-28 16:24
-
- 기후변화 재앙, '바다산성화'로 해양생물 이미 녹아내린다
- 남극해 바다달팽이 껍데기 외곽 손상 확인돼…해양생태계 핵심 연체동물남극·북극해 이어 2050년께면 전세계 넓은 바다가 산성화 영향 우려
‘바다달팽이’라는 극지방 근처의 찬 바다에 사...
- 2012-11-26 17:07
-
- 1100살 전설의 은행나무, 1조6000억 가치
- 인간의 조상인 사람속 유인원은 250만 년 전에야 그 꼴을 갖췄는데, 마지막 공룡이 숨을 쉰 것은 6500만 년 전이다. 공룡이 지구의 주인이던 중생대 쥐라기(1억 8000만~1억 5000 년 전)에는 ...
- 2012-11-23 15:38
한겨레 소개 및 약관